•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정용 정수기, 주기적인 위생관리 필요

- 취수부(코크) 등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낮아 -

인천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는 등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정수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수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더 커지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가정용 정수기 수질에 대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 가정집의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 아파트에 거주 중인 40가구에서 사용하는 가정용 정수기 / 조사항목 : 일반세균·총대장균군·진균·pH

아파트 40가구 중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 검출

일반 가정에서 마시는 환경과 동일하게 정수기 물을 멸균병에 채수하여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40가구 중 직수형·자가관리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기준 : 불검출)되었고, 일반세균*은 평균 257CFU**/ml 수준이었다.

   * 현행법상 정수기 관련 일반세균의 기준이 없으나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서 식수용 수돗물의 기준을 100CFU/ml로 규정하고 있고, 「먹는물 관리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정수기에만 제한적인 기준(총대장균군·탁도)을 두고 있음.

   * CFU(Colony Forming Unit, 집락형성단위) : 독자적으로 번식 가능한 세포 군락이 형성된 수

진균(곰팡이균)은 0~4CFU/ml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대한민국약전」 상 밀·옥수수 전분, 꿀 등의 진균 기준(100CFU/g 이하)과 비교하면 안전한 수준이었고, pH도 6.7~7.8로 식수용 수돗물 기준*(5.8~8.5) 이내였다.

   *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별표1

아파트 40가구 중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 검출

정수기의 취수부(코크)를 살균 소독(83% 에탄올)한 후에 정수기 물을 채수하여 시험한 결과 소독 전에 검출됐던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었던 1가구는 4년간 취수부(코크) 관리를 한 차례도 하지 않아 코크에 검정색 이물질이 묻어나는 등 위생상태가 불량했으나 소독 후에는 총대장균군이 불검출 된 바, 취수부(코크) 소독으로 위생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 약전에 실리지 않은 의약품에 대한 기준(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2014.12.5. 폐지)

또한 일반세균은 취수부 소독 후 평균 126CFU/ml 수준으로 50.8%가 감소했다. 일반세균은 체내에서 직접 병을 일으키는 경우가 거의 없으나 일부는 기회성 병원체*로 기회감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필터·저수조·직수관 및 취수부(코크) 등에 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 평소에는 병원성이 없으나 면역반응장애 등 특정 환경조건에서 병원성을 갖는 생물체를 지칭함.

한편, 진균은 취수부 소독 후 0~3CFU/ml 검출되어 안전한 수준이었고 pH도 6.7~7.9로 기준 이내에 해당했다.

대부분 가정에서 취수부(코크) 관리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해

조사대상 40가구 중 3가구(7.5%)만이 취수부(코크)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평소에도 관리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가구는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에 위생관리를 위임하고 별도의 관리를 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용 정수기의 위생관리 주체는 소비자이므로,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 여부와 관계없이 정수기 주변부 및 취수부(코크)에 대한 주기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수기를 판매·대여하는 13개 업체*에 ▲렌탈 케어 서비스에 취수부(코크) 소독을 포함시켜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취수부(코크)에 대한 위생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비자들에게 안내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을 권고해 해당 업체들은 이를 수용해 적극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 LG전자, SK매직, 교원, 바디프랜드, 원봉, 위닉스, 청호나이스, 코웨이, 쿠쿠, 한국암웨이, 현대렌탈서비스, 현대렌탈케어, 피코그램 총 13개 업체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첨부된 「가정용 정수기의 선택 및 위생관리 가이드」를 참고하여 정수기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20-10-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99 에어컨 온라인 구입 시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9 62
9398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처음 맞는 설, 농식품 소비촉진 및 수급안정지원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1 62
9397 허위 과대광고 행위 떴다방, 의료기기 체험방 등 52곳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62
9396 1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대비 6.5%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2 62
9395 유통기한을 변조한 냉동 오리고기 판매 업체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7 62
9394 구제역․AI 발생 동향 및 방역 추진 상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9393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9392 ELS 등 판매시 투자자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62
9391 10월 주택인·허가 5.2만호, 분양승인은 6.0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8 62
9390 전자금융거래시 금융소비자 편의성 제고 추진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62
9389 금융꿀팁 200선 - (19) 변액보험 가입자가 알아둘 필수정보 7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62
9388 김장철 주요 김장 재료 6개 중 5개 전통시장이 저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7 62
9387 2016년 9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62
9386 9월말 전국 미분양 60,700호, 전월대비 3.0% (1,862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62
9385 병원 장례식장의 가격정보 제공 개선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9 62
Board Pagination Prev 1 ...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