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려동물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반려견·반려묘 사료의 식중독균, 곰팡이독소 등 집중 모니터링 실시 -

 

주 요 내 용

 

 

 

농관원 시험연구소, 반려동물 개·고양이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모니터링 강화

식중독균·곰팡이독소 등 440여 종의 유해물질을 모니터링하여 위생·안전이 취약할 것으로 우려되는 사료의 유통차단

반려동물 사료의 관리기준 강화를 위해 모니터링 수준을 올해 200점에서 2023년까지 1,000점 수준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노수현, 이하 농관원’)소비자 우려가 큰 반려동물 , 고양이 사료의 위생안전문제 해소를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그간 농관원 시험연구소에서는 반려동물 사료의 품질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연간 800점 이상국내 제조·유통 중인 사료를 대상으로 조단백질, 칼슘 등의 함량 분석일부 유해물질 잔류 허용기준 초과 여부 확인을 위한 성분검정을 실시하여 왔다.

최근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에 따른 사료 시장의 급성장으로, 품질이 낮거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펫사료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와 함께 안전성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국내 펫푸드 시장규모(유로모니터): (’15) 7,348억원 (’17) 9,753 (’19) 11,914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발맞추기 위해 농관원 시험연구소에서는 올해부터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균동물용의약품·곰팡이독소·잔류농약 등 유해물질 440*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질량분석** 시스템을 갖추고,

    * 유해물질(440): 동물용의약품 92성분, 독소 11, 농약 320, 보존료 등 기타 17

    ** 질량분석: 첨단 질량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의 분자량과 식중독균 특이단백질의 질량을 측정하여 잔류 여부와 그 양을 분석하는 기술

   - ·고양이 사료의 위생과 유해물질 안전 사각지대 해소위해 200점의 사료에 대한 식중독균·유해물질 집중 모니터링 실시하며, 2023년까지 1,000수준으로 확대하여 관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모니터링 결과, 관리기준이 설정살모넬라(불검출), 아플라톡신(20ppb* 이하) 등이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될 경우에는 신속히 회수·폐기 조치하며,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식중독균이나 유해물질이 확인되면 새롭게 관리기준을 설정해 나갈 계획이다.

    * ppb(10억 분의 1): 사료 1kg0.001mg의 유해물질이 함유된 수준

농관원 노수현 원장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협하는 사료의 유통을 차단하고, 나아가 펫사료의 안전성식품수준으로까지 높여 1,000 반려인이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20-10-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53 오전 6시~10시, 빙판길 교통사고의 40.3%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0.12.03
1852 비상시 이렇게 하면 안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0.12.02
1851 반려동물 부가서비스 이용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추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0.12.02
1850 상품권 매입 사이트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3 2020.12.02
1849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0.11.30
1848 찬바람 부는 겨울, 감기약 먹을 때 주의할 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0.11.30
1847 콘택트렌즈 오사용·부주의로 인한 부작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0.11.27
1846 본격적인 겨울, 12월에는 대설·한파·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0.11.26
1845 주식회사 재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0.11.26
1844 편의점업계와 힘을 모아 메신저피싱(문자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공동 홍보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11.25
1843 해외 쇼핑몰에서 배송대행지로 배송 중 분실·도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0.11.25
184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11.23
1841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Eishindo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0.11.23
1840 끝부분이 날카로워 부상 위험 있는 Dulton 커트러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0.11.23
1839 리벳 파손으로 사용자 부상 위험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11.23
1838 라텍스 성분 주의사항 미표기된 Nylatex wraps 의료용 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11.23
1837 화재 위험과 가스 중독 위험 있는 Hewei 스팀 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11.23
1836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화재,화상 위험 있는 고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11.23
1835 처방약 성분 함유하여 피부 자극 위험 있는 MAKARI 미백 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0.11.23
1834 어린이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Medique 진통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