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려동물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반려견·반려묘 사료의 식중독균, 곰팡이독소 등 집중 모니터링 실시 -

 

주 요 내 용

 

 

 

농관원 시험연구소, 반려동물 개·고양이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모니터링 강화

식중독균·곰팡이독소 등 440여 종의 유해물질을 모니터링하여 위생·안전이 취약할 것으로 우려되는 사료의 유통차단

반려동물 사료의 관리기준 강화를 위해 모니터링 수준을 올해 200점에서 2023년까지 1,000점 수준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노수현, 이하 농관원’)소비자 우려가 큰 반려동물 , 고양이 사료의 위생안전문제 해소를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그간 농관원 시험연구소에서는 반려동물 사료의 품질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연간 800점 이상국내 제조·유통 중인 사료를 대상으로 조단백질, 칼슘 등의 함량 분석일부 유해물질 잔류 허용기준 초과 여부 확인을 위한 성분검정을 실시하여 왔다.

최근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에 따른 사료 시장의 급성장으로, 품질이 낮거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펫사료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와 함께 안전성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국내 펫푸드 시장규모(유로모니터): (’15) 7,348억원 (’17) 9,753 (’19) 11,914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발맞추기 위해 농관원 시험연구소에서는 올해부터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균동물용의약품·곰팡이독소·잔류농약 등 유해물질 440*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질량분석** 시스템을 갖추고,

    * 유해물질(440): 동물용의약품 92성분, 독소 11, 농약 320, 보존료 등 기타 17

    ** 질량분석: 첨단 질량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의 분자량과 식중독균 특이단백질의 질량을 측정하여 잔류 여부와 그 양을 분석하는 기술

   - ·고양이 사료의 위생과 유해물질 안전 사각지대 해소위해 200점의 사료에 대한 식중독균·유해물질 집중 모니터링 실시하며, 2023년까지 1,000수준으로 확대하여 관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모니터링 결과, 관리기준이 설정살모넬라(불검출), 아플라톡신(20ppb* 이하) 등이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될 경우에는 신속히 회수·폐기 조치하며,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식중독균이나 유해물질이 확인되면 새롭게 관리기준을 설정해 나갈 계획이다.

    * ppb(10억 분의 1): 사료 1kg0.001mg의 유해물질이 함유된 수준

농관원 노수현 원장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협하는 사료의 유통을 차단하고, 나아가 펫사료의 안전성식품수준으로까지 높여 1,000 반려인이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20-10-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3 건조한 날씨, 가을 산불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11.19
2712 사용 중 파손될 수 있는 Liberty Hardware 가구 손잡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11.29
2711 파손 우려 있는 Karrimor 숄더 파우치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2.04.29
2710 유해물질 함유된 키스(KISS) 인조손톱 세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0.04.13
2709 뚜껑 결함으로 누유 위험 있는 뉴레이튼 휘발유 휴대 용기(2)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5.03
2708 자전거 탈 때는 안전모 꼭, 교차로에서는 잠시 멈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5.13
2707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6.21
2706 다른 색상의 제품이 혼입된 hoyu 뷰틴 오렌지색 염모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7.28
2705 짜장·비빔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높아 과잉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8.03
2704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4.13
2703 상조 관련 불법 영업행위로 인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5.24
2702 연료탱크 부식 현상 발생하는 올란도 LPG모델 차량 보증기간 연장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3.08.17
2701 연일 계속되는 폭염, 온열질환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7.17
2700 유행성각결막염 지속 증가,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7
2699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9
2698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9.06
2697 닭고기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교차오염에 특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1.29
2696 임신 중 비타민 D 적정 유지가 출생 후 자녀의 아토피피부염 예방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3.08
2695 에티오피아 티그라이(Tigray)주 여행경보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13
2694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