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젠 집으로 갈 수 있어요”

주거개선 지원 사업을 통해 6명의 중도장애인 사회복귀 시작

(환자사례) 뇌병변장애 3급, 70세 김○○씨

오랜 입원기간 중 집으로 외박을 한 번 다녀왔다. 하지만, 그 이후로 집에 가기를 주저하였다. 집에 가려면 상가 건물 4층 계단을 통해 보호자 부축을 받으며 위태롭게 20분 이상을 걸어서 올라가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집밖으로 자유로운 외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퇴원을 주저하였다. 하지만 국립재활원의 주거개선 지원 사업을 통해 4층까지 계단 안전바 설치와 욕실지지대, 샤워기설치 등을 지원 받게 되었다. 주거개선 지원 사업 실시 이후 김○○씨는 1주일 만에 퇴원결정을 하고 집으로 갔으며, 현재 주간재활센터를 다니면서 지역에서 잘 생활하고 있다

국립재활원(원장 이성재)은 입원 환자의 조기 사회복귀 지원을 위해 2015. 8월부터 「주거개선 지원 사업」을 실시하여 6명의 중도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추진하였다고 밝혔다.

주거개선 지원 사업이란,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추어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 문턱제거, 수납장 설치 등을 통해 장애인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에서 소요비용을 지원하고, 인테리어 업체대표들로 구성된 봉사단체인 ‘인테리어 25시팀’에서 현장공사를 지원한다.

사업시행 첫 해인 금년에는 중도장애인 및 그 가족의 신청을 받아 국립재활원 주거환경개선지원팀(전문의,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등)에서 가정방문, 상담 등을 통해 대상자 6명을 발굴하였다.

위 6명중 4명은 주거개선 지원을 받아 이미 가정으로 복귀하여 일상생활을 하고 있고, 2명은 현재 입원중이나 내년 초 가정에 복귀 예정으로, 전과 비교하였을 때 주거환경 만족도(53.2점→83.2점)가 크게 증가하였다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퇴원 후 중도장애인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 주민센터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프로그램 연계 및 생활정보 등을 제공하였다.

향후, 국립재활원은 주거개선 지원 사업을 계속 확대 해 나가는 한편, 장애인복지관 등 이외에도 6개 권역재활병원과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중도장애인이 조기에 사회복귀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참고자료

1.「주거개선 지원 사업」 개요

2.「주거개선 지원 사례」

3. 주거개선 지원 결과

 

[보건복지부 2015-12-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56 인공지능으로 소방·구급차 응급출동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3 50
10255 인공지능(AI), 3D 프린팅, 로봇 등 혁신의료기술의시장 조기 진입이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5 51
10254 인공지능(AI) 스피커, 소비자 만족도 높은 편이나 음성인식·대화기능 등 개선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8 49
10253 인공지능 기반 CCTV 영상분석으로교통체증 해소, 도로안전 수준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8 89
10252 인공임신중절, 의사에게 교육·상담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3 23
10251 인공유방 이식환자 대상 안전성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21
10250 인공유방 사용 시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0249 인강업체 부당광고 방지 자율협약 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9 9
10248 인감정보 보호 더욱 든든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5 85
10247 인감도장 대신 간편한 서명으로, 4월부터 ‘본인서명사실확인서’ 무료 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6 20
10246 인감 제도’, 주민이 편리한 방향으로 대폭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88
10245 인가받지 않고 사이버상에서 불법영업하는 167개 업체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9 116
10244 익명 소통 누리집 등 불법 마약류 판매.광고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1 53
10243 이행강제금 감경 부과하고, 건축허가서류 간소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8
10242 이케아코리아(유)의 배송·조립서비스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조항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5 198
Board Pagination Prev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