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국립공원공단 가을철 맞아 등산, 성묘 등 야외활동 시 말벌, 뱀, 독버섯 등 독성생물 주의 안내

▷ 국립공원에서 버섯 등 임산물 채취 9월 26일부터 집중단속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말벌, 뱀, 독버섯 등 독성생물 주의를 비롯해 국립공원 내 임산물 채취 금지 등 가을철을 맞아 주요 야외활동 주의사항을 공개했다. 


가을철은 말벌의 세력이 확산되는 시기로 향이 진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말벌에 쏘일 수 있다. 특히 말벌은 검정색, 갈색 등 어두운 색의 옷차림과 땅울림(발자국 진동)에 공격성이 강하다. 


야외활동 시 벌집을 발견하면, 벌집을 자극하거나 스스로 제거하지 말고 국립공원사무소나 소방서에 연락해야 한다. 벌집을 건드렸을 땐 웅크리지 말고 그 자리에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빠르게 벗어나야 한다.


또한, 야외활동 시 뱀에 물릴 경우 자칫 흥분하여 뛰게 되면 혈액 순환이 빨라져 독이 쉽게 퍼질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대응해야 한다.


물린 부위의 독을 빼기 위해 칼로 상처를 내서 독을 빼야 한다는 속설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물린 부위에 2차 감염이 발생하여 추가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독사에게 물렸을 경우,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어 혈액 순환을 억제하고 3~4시간 내로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 있다.


이 밖에도 숲 속의 습한 곳에 자라는 쐐기풀류는 잎과 줄기의 가시털(자모)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만지거나 스치면 강한 통증을 일으킨다.


한편, 국립공원공단은 가을철 국립공원 내에서 버섯 등 임산물을 불법 채취하는 행위에 대해 9월 26일부터 44일간 집중 단속한다. 


국립공원 내에서 임산물을 불법으로 채취하다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국립공원공단은 지역 내 순찰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속리산, 월악산 등 불법채취가 우려되는 국립공원에 10~15명 규모의 특별단속팀을 편성하여 불시에 단속하기로 했다.


주요 단속 대상은 겨우살이 등 임산물을 채취하기 위해 톱, 도끼 등의 도구를 소지하고 출입하는 행위, 나무를 베거나 식물을 채취하는 행위, 임산물 채취를 목적으로 샛길을 출입하는 경우 등이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안전사고 914건 중 샛길 등 비법정탐방로에서 11건의 사망사고와 157건의 부상이 발생했으며, 임산물 채취를 목적으로 샛길을 불법으로 출입하다가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다.


권경업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가을철을 맞아 등산 등 야외활동과 벌초, 성묘 등 작업 시에는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여 독성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한다"라고 당부하며, 


"자연자원 보호와 안전한 국립공원 조성을 위해 임산물 채취 등 공원 내 불법·무질서 행위에 대해 단속·감시를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0-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51 Eternal ink 문신잉크(Bright Orange), 중금속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05
1950 겨울철 대설.한파,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18
1949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1948 Disneyland 봉제인형, 규정치 이상의 화학물질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3.12
1947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7.26
1946 공공기관, 은행 등을 사칭한 불법대출 문자메시지 소비자 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2.03
1945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임신 20주 이후 사용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10.19
1944 폴대와 톱날이 분리돼 중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가지치지용 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2.08
1943 손소독제 사용 중 눈에 튀는 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3.30
1942 겉창 핀 접착이 불량한 RBB 낚시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9.14
1941 “추석 명절 ‘택배’, ‘무상제공형 기프티콘’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9.13
1940 맥각알칼로이드 성분 함유한 ALNATURA 스파게티 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12.01
1939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Dontdo 완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12.27
1938 벤젠 검출된 Aussie 드라이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2.03.14
193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2.06.08
1936 포름알데히드 검출된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2.06.08
1935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가정용 와플 메이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2.10
1934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4
1933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6
1932 Benefit 눈썹 마스카라 눈 자극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