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콩팥병 환자의 관리에 비만 및 대사이상 조절, 금연, 절주, 저염식 등 생활습관 개선 중요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하여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만성콩팥병 환자의 장기추적조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콩팥병 환자의 관리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발표하고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을 당부하였다.


   * ‘유형별 만성신장질환 생존 및 신기능 보존 장기 추적조사연구(KNOW-KIDNEY,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병원 오국환 교수) <붙임1 참조>


 ○ 만성콩팥병*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고혈압 등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 만성콩팥병(만성신장질환) :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콩팥의 손상이 있거나 콩팥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각종 질환


                                                                      <연도별 만성콩팥병 진료 환자 수>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진료 환자 수()

170,576

189,691

203,978

226,877

249,283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한다.


    * 말기신부전: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콩팥기능이 현저히 감소되어 투석 또는 이식과 같은 콩팥을 대치하는 요법을 받아야만 하는 상태


   - 일부 환자들의 경우 만성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기 전에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이 먼저 생겨 사망하는 경우도 있어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 만성콩팥병 장기추적조사 연구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비만과 대사이상 조절, 금연, 저염식 등을 실천하는 것이 질환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 비만과 대사이상 관리가 중요하다.


   - 만성콩팥병 환자 중 비만*과 당뇨병 등 대사이상**이 있는 경우 혈액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 위험도가 1.53배 증가하였다.


     * 비만 :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이상


    ** 대사이상 : 고혈압(수축기 혈압 > 13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85 mmHg), 당뇨병(공복 혈당 ≥100 mg/dL), 복부 둘레(남자 ≥90 cm, 여자 ≥ 80 cm), 중성지방(≥ 150 mg/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남자 < 40 mg/dL, 여자 < 50 mg/dL).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있을 경우


 ○ 금연을 권한다.


   -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콩팥기능이 악화될 위험도가 높았으며, 매일 한 갑 씩 15년간 흡연한 만성콩팥병 환자는 비흡연 환자에 비해 1.48배, 30년 이상 흡연한 환자는 1.94배로 콩팥기능 악화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 금연 기간이 길수록 신장 기능 악화 위험도는 오히려 낮아져 만성콩팥병 환자들에게 하루 속히 금연하는 것을 권장한다.


 ○ 과도한 음주를 피하자.


   -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과도한 음주는 신장 기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거의 매일 마시고 1회 음주량이 5잔 이상인 경우 콩팥기능 악화 위험도가 2.19배 증가하였다.


   -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하여 신부전 악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콩팥기능 악화 예방을 위해서 과도한 음주를 피하고, 폭음은 하지 말아야 한다.


 ○ 저염식을 실천하자.


   - 만성콩팥병 환자 중 1일 소금섭취량이 11g이상인 환자군에서 6~8g 섭취 환자군 대비 콩팥기능 악화 위험도가 1.6배나 더 높았다.


   - 만성콩팥병 환자들은 세계보건기구의 권고에 따라 1일 소금 5g(나트륨으로는 2000mg) 이하의 저염식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 질병관리청은 비만관리, 금연, 절주 및 저염식 등의 생활화와 만성콩팥병 예방ㆍ관리를 위해 전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ㆍ홍보자료를 보급하고 있다.


 ○ 건강한 성인, 고혈압ㆍ당뇨병ㆍ콩팥병 환자, 소아청소년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 자료(3종, 붙임2 참조)와 함께,


   - 어린이와 청소년이 학생건강검진 등을 통하여 고혈압, 단백뇨, 요당, 요잠혈 등이 나왔을 경우에 보건교사와 보호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자료(8종, 붙임3 참조)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 모든 교육ㆍ홍보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알림ㆍ자료 → 홍보자료 → 교육자료)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만성콩팥병 환자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질병부담이 높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만성콩팥병의 예방‧ 관리를 위해 9대 생활 수칙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20-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20 대규모유통업법 과징금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0
9619 한국소비자원-금융감독원, 유사투자자문업자 불법·불건전 행위 근절을 위한 상시 협력체계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6
9618 2017 소비자안전 모니터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0
9617 가상통화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3 50
9616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3 48
9615 식약처, 폭염에 따른 식중독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3 42
9614 팜(FARM)을 활용한 특수목적형 농촌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3 49
9613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무상으로 점검 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42
9612 상주∼영천 고속도로 개통, 울산 가는 길이 빨라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3
9611 유통기한 경과 양념간장 제품이 포함된 즉석조리식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4
9610 저축은행의 금융거래 서류가 간소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9609 분실한 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 민원24에서 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8
9608 어린이 교통사고 취약지역 집중관리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9607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45
9606 2017년 5월 소비자상담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1
Board Pagination Prev 1 ...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