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가을철 증가하는 발열성 감염병 주의 당부!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하게 보내세요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

추석명절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가급적 자제, 불가피할 경우 예방수칙 준수 철저

야외활동 후 발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 :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 쯔쯔가무시증은 야외활동 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9월~11월)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 특히, 올해에는 전년대비 3주 빨리 매개 털진드기 유충이 강원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붙임4 참고>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사진 붙임 참조>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 참진드기 밀도는 전년 동기간 대비 55% 낮은 수준이나 환자 발생*은 전년대비 다소 증가하여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붙임4 참고>


     * 2019.1.1.~9.15 147명 발생(31명 사망), 2020.1.1.~9.15 153명 발생(20명 사망)


 ○ 또한,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며,


     * 최근 5년 평균 렙토스피라증 (9∼11월),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50% 이상 발생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발생, 렙토스피라증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발생 추이 그래프 붙임 참조>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며,


 ○ 농작업이나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홍보자료 붙임 참조>



□ 또한,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여 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쥐의 배설물 등에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나 군인, 농부 등 고위험군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장하며,


     * 접종시기 : 총 3회(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접종 실시)


 ○ 발열, 근육통, 두통,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증상이 유사하므로 “유증상자에 대해서는 야외활동력 등을 확인하고 적극적인 감별진단을 통해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의료인의 주의를 당부”하였다.


 ○ 또한, 추석 명절 벌초와 성묘 등 야외활동은 가급적 자제를 권고하나 불가피한 경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야외활동 후 발열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20-09-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89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2.04.29
1888 봄 산행, 덜 녹은 얼음과 서리에 미끄러지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3.11
1887 MRI 촬영시 금속재료가 없는 마스크 사용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0.12.09
1886 여름 휴가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7.02
1885 무좀약을 눈에? 안약 오인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6
1884 추운 겨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5
1883 가을철 야외활동, 쯔쯔가무시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0.08
1882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Arch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9.13
1881 벤젠 검출된 NEUTROGENA 자외선 차단 바디 미스트(Ultra sheer SPF45)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9.10
1880 충전기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CORE 마사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28
1879 과기정통부, 연말연시 대비‘랜섬웨어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2.23
1878 명절 대비 건강제품, 온라인 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09.24
1877 집중호우로 인한 위기상황 탈출법, 체험 통해 배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4.30
1876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4.05.17
1875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3.05.26
1874 라벨 미표기된(헤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Godiv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2.05.04
1873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안내 관련 문자사기(스미싱)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9.06
1872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기된 BUBS Naturals MCT 오일 파우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6.24
1871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5.03
1870 바닥매트, 자전거 등 비대면 수요증가 30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4.09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