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가을철 증가하는 발열성 감염병 주의 당부!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하게 보내세요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

추석명절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가급적 자제, 불가피할 경우 예방수칙 준수 철저

야외활동 후 발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 :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 쯔쯔가무시증은 야외활동 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9월~11월)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 특히, 올해에는 전년대비 3주 빨리 매개 털진드기 유충이 강원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붙임4 참고>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사진 붙임 참조>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 참진드기 밀도는 전년 동기간 대비 55% 낮은 수준이나 환자 발생*은 전년대비 다소 증가하여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붙임4 참고>


     * 2019.1.1.~9.15 147명 발생(31명 사망), 2020.1.1.~9.15 153명 발생(20명 사망)


 ○ 또한,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며,


     * 최근 5년 평균 렙토스피라증 (9∼11월),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50% 이상 발생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발생, 렙토스피라증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발생 추이 그래프 붙임 참조>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며,


 ○ 농작업이나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홍보자료 붙임 참조>



□ 또한,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여 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쥐의 배설물 등에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나 군인, 농부 등 고위험군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장하며,


     * 접종시기 : 총 3회(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접종 실시)


 ○ 발열, 근육통, 두통,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증상이 유사하므로 “유증상자에 대해서는 야외활동력 등을 확인하고 적극적인 감별진단을 통해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의료인의 주의를 당부”하였다.


 ○ 또한, 추석 명절 벌초와 성묘 등 야외활동은 가급적 자제를 권고하나 불가피한 경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야외활동 후 발열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20-09-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31 곰팡이가 생길 우려가 있는 영유아용 빨대컵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2 2016.10.06
4130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11~ 2016.07.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0 2016.10.10
4129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18~ 2016.07.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3 2016.10.10
4128 현대자동차(주)·기아자동차(주) 세타Ⅱ 엔진 보증기간 연장 실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63 2016.10.13
412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0.7.∼2016.10.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89 2016.10.18
4126 유해물질 검출된 '셀라인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0.21
4125 유해물질 검출된 '갤럭시 프로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3 2016.10.21
4124 유해물질 검출된 '골든로즈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8 2016.10.21
412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14~2016.10.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7 2016.10.24
412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52 2016.10.28
4121 레녹스 내열냄비 탈착형 손잡이 무상 제공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71 2016.10.28
4120 맘앤쥬 펭귄 어린이 칫솔 자발적 환급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19 2016.10.28
411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0.21.∼2016.10.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7 2016.10.31
4118 찜질팩 5개 제품, 자발적 교환·환급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1 2016.11.03
4117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8 2016.11.07
411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28~2016.1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9 2016.11.07
411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4~2016.11.1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26 2016.11.14
4114 로봇청소기 2개 제품 자발적 환급, 인증스티커 제공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1.16
4113 조명기기, 텐트 등 15개 제품에 대해 수거·교환 등 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17 2016.11.18
411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11.∼2016.11.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4 2016.11.21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