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가을철 증가하는 발열성 감염병 주의 당부!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하게 보내세요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

추석명절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가급적 자제, 불가피할 경우 예방수칙 준수 철저

야외활동 후 발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 :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 쯔쯔가무시증은 야외활동 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9월~11월)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 특히, 올해에는 전년대비 3주 빨리 매개 털진드기 유충이 강원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붙임4 참고>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사진 붙임 참조>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 참진드기 밀도는 전년 동기간 대비 55% 낮은 수준이나 환자 발생*은 전년대비 다소 증가하여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붙임4 참고>


     * 2019.1.1.~9.15 147명 발생(31명 사망), 2020.1.1.~9.15 153명 발생(20명 사망)


 ○ 또한,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며,


     * 최근 5년 평균 렙토스피라증 (9∼11월),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50% 이상 발생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발생, 렙토스피라증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발생 추이 그래프 붙임 참조>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며,


 ○ 농작업이나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홍보자료 붙임 참조>



□ 또한,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여 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쥐의 배설물 등에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나 군인, 농부 등 고위험군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장하며,


     * 접종시기 : 총 3회(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접종 실시)


 ○ 발열, 근육통, 두통,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증상이 유사하므로 “유증상자에 대해서는 야외활동력 등을 확인하고 적극적인 감별진단을 통해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의료인의 주의를 당부”하였다.


 ○ 또한, 추석 명절 벌초와 성묘 등 야외활동은 가급적 자제를 권고하나 불가피한 경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야외활동 후 발열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20-09-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79 승인되지 않은 GMO 성분 함유 가능성 있는 m&m 초콜릿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1.10.08
1978 승인되지 않은 첨가제 함유한 JGB 멀티비타민 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1.27
1977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003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1.09.14
1976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09.14
1975 시계, 품질 및 A/S 불만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7.10.20
1974 시력 손상 위험 있는 Sculpfun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3.04.18
1973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04
1972 시안화수소산 과다 함유한 Alnatura 견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8 2022.06.14
1971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Alnatura 그라운드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7.18
1970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dm 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7.18
1969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2.27
1968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2.01
1967 시중 유통 도시락, 햄버거 등 즉석섭취식품 벤조피렌 안전한 수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1.17
1966 시중 유통 의료기기의 안전관리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1.08.18
1965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7.12.19
1964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5.29
1963 식약처,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3.29
1962 식약처, 냉이·쑥 등 봄나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3.12
1961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보건용 마스크 구입 및 사용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01 2015.12.24
1960 식약처,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6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