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최근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기반 쇼핑몰*을 통한 의류 구매가 늘면서 사업자의 폐업·연락두절 등으로 인한 상품미배송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SNS 기반 쇼핑몰 :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이나 오픈마켓이 아닌 SNS(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인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상품 거래 및 홍보가 이루어지는 쇼핑몰을 의미함. 최근에는 SNS를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홍보만 하고 청약은 링크를 통해 별도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늘고 있음.

2020. 1. 1. ~ 2020. 6. 30.까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SNS 기반 쇼핑몰 구입 의류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657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38.9%(184건) 증가*했다.

   * SNS 기반 쇼핑몰 구입 의류 피해구제 신청 : 2019년 상반기 473건 → 2020년 상반기 657건

이는 모바일을 통한 SNS 기반 전자상거래가 신유형 거래로 활성화되면서 유통 및 재정기반이 취약한 개인 사업자의 시장 진출이 증가했으나, 에스크로 제도*와 같은 안전거래 방식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은행 등 믿을 수 있는 제3자가 소비자의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다가 상품배송이 완료된 후 그 대금을 통신판매업자에게 지급하는 거래안전장치

‘상품미배송’으로 인한 소비자피해가 48.4%로 가장 많아

2020년 상반기에 SNS 기반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의류에 대한 피해구제 신청 657건을 분석한 결과, ‘상품미배송’이 48.4%(318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청약철회 거부’ 19.5%(128건), ‘광고와 다른 제품 배송’ 14.9%(98건) 등의 순이었다.

                                                             [피해유형별 현황]

구분

건수(비율)

상품미배송

318(48.4%)

청약철회 거부

128(19.5%)

광고와 다른 제품 배송

98(14.9%)

품질하자

94(14.3%)

기타

19(2.9%)

657(100.0%)

상품미배송은‘폐업 및 연락두절’, 청약철회 거부는 ‘교환·환불불가 사전고지’가 주요사유

소비자피해 유형별 주요 사유를 분석한 결과, 상품미배송은 ‘업체의 폐업·사이트 폐쇄 및 일방적 연락두절’등으로 인한 경우가 68.2%(217건)로 가장 많았고,청약철회 거부는 사업자가 ‘교환 및 환불불가 등을 사전 고지’했다는 사유가 46.9%(60건)로 가장 많았다.

거래금액 ‘5만원 미만’ 소액거래가 41.4% 차지

SNS 기반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의류의 구입금액은 ‘5만원 미만’이 41.4%(272건)로 가장 많았고, 평균 의류 구입금액은 138,028원이었다.

                                                                  [거래금액별 피해구제 현황]

                                                                                                                                                                                                       (단위 : 건, %)

구분

5만원 미만

5만원 이상
~ 10만원 미만

10만원 이상
~ 20만원 미만

20만원 이상

건수 (비율)

272 (41.4)

177 (26.9)

114 (17.4)

94 (14.3)

657 (100.0)


대금 결제방법은 ‘계좌이체’가 43.9%(184건)로 가장 많아 계약불이행으로 인한 소비자피해 발생 시 대금 환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결제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금 결제 시에는 에스크로제도 등 ‘안전거래 방식’ 이용해야

한국소비자원은 SNS 기반 쇼핑몰 관련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계약 체결 전에는 판매자가 신뢰할 수 있는 사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것, ▲계약 체결 시에는 제품의 소재, 상세사이즈, 색상 등 중요 계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결제 시에는 일반 계좌이체를 지양하고 에스크로 계좌로 이체하거나, 신용카드, 결제대행사 등을 통한 ‘안전거래방식’으로 결제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9-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08 가맹점에 대한 카드매출대금 지급 차별관행 개선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1
9307 여름철 많은「감염성 장염」, 겨울철에도 주의요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6 61
9306 「전화-인터넷-홈쇼핑 등을 통한 금융상품 판매관행 개선」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2 61
9305 2016년 생활화학제품 전수조사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0 61
9304 정부, CMIT/MIT 혼입된 원료공급업체 조사결과 발표(정부합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61
9303 ‘겨울 레포츠하기 좋은 농촌관광코스 9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61
9302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30 61
9301 레지오넬라폐렴 발생 예방을 위한 환경관리 철저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30 61
9300 겨울철 재해는 이렇게 예방 하세요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61
9299 보험대리점 상시감시 및 검사업무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61
9298 도마뱀 사체 이물 발견 수입과자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61
9297 시중 유통 컬러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1
9296 공매도 및 공시제도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1 61
9295 2016년 8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61
9294 K-Food 로드, 2017 음식관광 테마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1 61
Board Pagination Prev 1 ...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