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최근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기반 쇼핑몰*을 통한 의류 구매가 늘면서 사업자의 폐업·연락두절 등으로 인한 상품미배송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SNS 기반 쇼핑몰 :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이나 오픈마켓이 아닌 SNS(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인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상품 거래 및 홍보가 이루어지는 쇼핑몰을 의미함. 최근에는 SNS를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홍보만 하고 청약은 링크를 통해 별도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늘고 있음.

2020. 1. 1. ~ 2020. 6. 30.까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SNS 기반 쇼핑몰 구입 의류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657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38.9%(184건) 증가*했다.

   * SNS 기반 쇼핑몰 구입 의류 피해구제 신청 : 2019년 상반기 473건 → 2020년 상반기 657건

이는 모바일을 통한 SNS 기반 전자상거래가 신유형 거래로 활성화되면서 유통 및 재정기반이 취약한 개인 사업자의 시장 진출이 증가했으나, 에스크로 제도*와 같은 안전거래 방식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은행 등 믿을 수 있는 제3자가 소비자의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다가 상품배송이 완료된 후 그 대금을 통신판매업자에게 지급하는 거래안전장치

‘상품미배송’으로 인한 소비자피해가 48.4%로 가장 많아

2020년 상반기에 SNS 기반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의류에 대한 피해구제 신청 657건을 분석한 결과, ‘상품미배송’이 48.4%(318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청약철회 거부’ 19.5%(128건), ‘광고와 다른 제품 배송’ 14.9%(98건) 등의 순이었다.

                                                             [피해유형별 현황]

구분

건수(비율)

상품미배송

318(48.4%)

청약철회 거부

128(19.5%)

광고와 다른 제품 배송

98(14.9%)

품질하자

94(14.3%)

기타

19(2.9%)

657(100.0%)

상품미배송은‘폐업 및 연락두절’, 청약철회 거부는 ‘교환·환불불가 사전고지’가 주요사유

소비자피해 유형별 주요 사유를 분석한 결과, 상품미배송은 ‘업체의 폐업·사이트 폐쇄 및 일방적 연락두절’등으로 인한 경우가 68.2%(217건)로 가장 많았고,청약철회 거부는 사업자가 ‘교환 및 환불불가 등을 사전 고지’했다는 사유가 46.9%(60건)로 가장 많았다.

거래금액 ‘5만원 미만’ 소액거래가 41.4% 차지

SNS 기반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의류의 구입금액은 ‘5만원 미만’이 41.4%(272건)로 가장 많았고, 평균 의류 구입금액은 138,028원이었다.

                                                                  [거래금액별 피해구제 현황]

                                                                                                                                                                                                       (단위 : 건, %)

구분

5만원 미만

5만원 이상
~ 10만원 미만

10만원 이상
~ 20만원 미만

20만원 이상

건수 (비율)

272 (41.4)

177 (26.9)

114 (17.4)

94 (14.3)

657 (100.0)


대금 결제방법은 ‘계좌이체’가 43.9%(184건)로 가장 많아 계약불이행으로 인한 소비자피해 발생 시 대금 환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결제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금 결제 시에는 에스크로제도 등 ‘안전거래 방식’ 이용해야

한국소비자원은 SNS 기반 쇼핑몰 관련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계약 체결 전에는 판매자가 신뢰할 수 있는 사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것, ▲계약 체결 시에는 제품의 소재, 상세사이즈, 색상 등 중요 계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결제 시에는 일반 계좌이체를 지양하고 에스크로 계좌로 이체하거나, 신용카드, 결제대행사 등을 통한 ‘안전거래방식’으로 결제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9-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74 주민등록 전입신고서, 대폭 간소화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2 103
11473 주민등록 민원, 더 쉽게 신청하고 더 빠르게 해결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4
11472 주민등록 등·초본 미리 발급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06 15
11471 주민 체감형 농촌 복지 프로그램 지원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7 83
11470 주민 의견수렴·주민청구 제출, “주민e직접”에서 모바일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25
11469 주민 ‘생활고’ 해결 위해 강원·충북 찾아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1
11468 주말 고속버스도 정액권으로 싸게 탄다… 5·7일권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9
11467 주말 24시간 연속 근무하는 학교 경비원, 근로기준법 상 근로시간 등 적용 안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2 197
11466 주류(맥주, 소주) 분석 보도자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123
11465 주된 표시·광고에 딸린 제한사항의 효과적 전달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56
11464 주거취약계층 전세임대주택 신청 시 즉시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7 56
11463 주거취약계층 대상 디딤돌대출 금리 인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6 30
11462 주거지원 정책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7 36
11461 주거이전비 지급대상 ‘세입자’에 무상거주자도 포함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41
11460 주거용 오피스텔의 도로점용료 부담 줄어 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120
Board Pagination Prev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