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두유, 제품별 당류와 칼슘 함량 차이 커

<‘일반비교정보’, 두유 가격·품질 비교정보 제공>

‘두유’에 관한 품질비교·가격정보는 정부 3.0 달성 차원에서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내 ‘일반비교정보’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이 자료는 12월 17일(목)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2월 16일 12시)

 

두유는 콩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가공식품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간식 및 식사대용식, 건강에 좋은 음료로 인기가 높고, 제품의 제조 방식이나 원재료, 식품첨가물 함유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두유 제품의 품질을 평가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어 합리적인 소비를 위해 영양성분 및 표시실태를 종합적으로 비교한 제품의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두유 12개과 대형유통점 PB제품 2개, 총 14개 제품을 대상으로 당류, 칼슘 등 영양성분, 표시실태, 안전성, 가격 등을 시험·평가하였다.

 

■ (영양성분) 당류와 칼슘의 경우, 검은콩두유와 흰콩두유 제품의 함량 차이 커

당류의 경우, 1회제공기준량(200ml) 당, 검은콩두유 제품은 최소 5.8g ~ 최대 10.9g으로 최대 1.9배 차이나며, 흰콩두유 제품은 최소 5.2g ~ 최대 9.0g으로 최대 1.7배 차이났다. 검은콩두유 제품(평균 9.0g)이 흰콩두유 제품(평균 6.8g)에 비해 당류 함량이 높았으며, 당류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의 경우, 10.9g으로 WHO 1일 섭취권고량인 50g의 21.8%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경우, 1회제공기준량(200ml) 당, 검은콩두유 제품은 최소 149mg ~ 최대 283mg으로 최대 1.9배 차이나며, 흰콩두유 제품은 최소 25mg ~ 최대 228mg으로 최대 9.1배 차이났다. 검은콩두유 제품은 시험대상 모든 제품에 칼슘이 첨가되어 있어, 검은콩두유 제품(평균 235mg)이 흰콩두유 제품(평균 113mg)에 비해 2배 이상 칼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열량, 단백질, 지방 등 영양성분의 경우, 검은콩두유와 흰콩두유 제품과의 함량 차이가 크지 않았다.

■ (표시실태) 영양성분 함량 표시기준 부적합 제품의 관리강화 필요

14개 제품 중 3개 제품은 당류 및 비타민류 등 영양성분 함량의 표시가 표시기준에 부적합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

■ (안전성) 미생물, 중금속(납, 카드뮴) 안전한 수준

전 브랜드에서 대장균군과 일반세균이 불검출되었고, 중금속은 극미량 검출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2015-12-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5 「유방암」진료인원수 꾸준히 증가, 암검진 통한 조기발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5 99
1884 자동차 안전기준 부적합과 연비과장 으로 5개 차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99
1883 “혼자 관리하기 힘든 고혈압·당뇨, 동네의원과 함께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99
1882 '16년 말 기준 도시개발구역 ‘전국 418개’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9 99
1881 내년 7월부터 화장품에 미세플라스틱 사용 금지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99
1880 환자 동의 시 의료기관간 진료정보교류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99
1879 한국의 소비자역량 꾸준히 향상, ’14년 대비 1.5점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0 99
1878 시중 유통 일부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99
1877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99
1876 국민권익위, “체당금 지급대상 근로자 여부는 노무제공의 실질을 살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99
1875 다양한 교통수단의 검색·예약·결제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7 99
1874 거동 불가 예금주의 치료비 목적 예금 인출 절차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9
1873 MS신용카드의 자동화기기 카드대출 제한 시행 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00
1872 일반식품 등을 키 성장에 효능이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 광고한 업체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2 100
1871 (유)나이키스포츠 슬리퍼 이염 발생으로 환급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0 100
Board Pagination Prev 1 ...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