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로나19 시대, 슬기로운 구강 관리

- 감염과 구취를 예방하는 「생활 속 구강 관리 수칙」안내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감염과 구취 예방의 일환으로 「생활 속 구강관리 수칙」을 배포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로 인해 장시간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됨에 따라 스스로 구취(입 냄새)를 느끼거나, 이로 인한 불쾌감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사회적으로 구강 위생관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이에,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기본을 지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라는 핵심 메시지를 담은 8가지「생활 속 구강관리 수칙」을 제시하였다.

□ 「생활 속 구강 관리 수칙」은 구강과 관련된 위생 환경에 대한 생활수칙과 구취 제거에 도움이 되는 구강 관리 방법에 대한내용을 담고 있다.

 ○ (구강 위생 환경 수칙) 칫솔질 할 때의 위생 환경과 치약 등 구강 위생을 위해 사용하는 용품에 대한 준수사항으로, △칫솔질 전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칫솔, 치약, 컵은 개인별로 사용하기, △칫솔 간 간격을 두고 보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구강 위생 환경 수칙

칫솔질 전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구강의 위생과 청결을 위해 칫솔질을 하기 전과 후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습니다.

칫솔, 치약, 컵은 개인별로 사용하기

- 침으로 발생하는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칫솔과 컵은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치약을 칫솔에 바를 때 치약 입구 부분이 세균 및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개인별로 치약을 사용합니다.

칫솔 간 간격을 두고 보관하기

- 여러 칫솔을 함께 보관하면 칫솔이 맞닿아 다른 사람의 침이나 혈액이 묻을 수 있으므로, 칫솔 간 간격을 두어 보관합니다. 또한 가급적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특히, 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경우, 보통 칫솔을 함께 보관하거나, 치약이나 양치컵을 같이 사용하는데, 가족 간 타액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므로 사용·보관에 주의가 필요하다.

 ○ (구취를 제거하는 구강 관리 수칙) 구취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데, 그 중 85~90%가 구강 내의 요인이다. 혀의 백태, 구강 건조증, 청결하지 않은 구강 위생 상태, 구취를 유발하는 음식 섭취, 구강질환 등으로 인해 구취가 발생된다.

  - 이와 같은 구강 내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5가지 구강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흡연, 음주, 단 음식 피하기, △커피, 차 등 카페인이 든 음료 줄이기, △불소가 들어 있는 치약 사용하기, △잠자기 전을 포함하여 하루에 2번 이상 칫솔질하기, 혓바닥도 깨끗이 닦기 △입 체조하기를 실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구취를 제거하는 구강 관리 수칙

흡연, 음주, 단 음식 피하기

- 흡연은 구취의 원인인 황화합물이 쌓이게 하고, 음주는 탈수 증세로 구강 점막을 건조시켜 구취를 유발하고, 설탕이 든 단 음식은 입안 세균을 증식시켜 구취를 일으킵니다.

커피, 차 등 카페인이 든 음료 줄이기

- 카페인이 든 음료는 구강을 건조하게 만들어 구취를 일으키므로, 카페인 음료를 줄이고, 입 안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머금어 수분을 보충합니다.

불소가 들어 있는 치약 사용하기

- 불소는 입안의 세균을 제거하고, 치아를 튼튼하게 만듭니다.

잠자기 전을 포함하여 하루에 2번 이상 칫솔질하기, 혓바닥도 깨끗이 닦기

- 혀에 쌓인 설태(백태)는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므로 칫솔질로 청결한 구강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하루에 2번 이상 칫솔질을 해야 하며, 특히 잠을 자는 동안에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잠자기 전에는 반드시 칫솔질을 합니다.

입 체조하기

- 침이 잘 분비될 수 있도록 입술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혀를 움직여 줍니다.

 

- 그러나 꼼꼼한 구강 관리 실천에도 불구하고, 구취가 지속될 경우는 자각하지 못한 구강질환 있거나, 구강 외적인 전신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구강검진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관리가 필요하다.

□ 보건복지부 장재원 구강정책과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감염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 스스로의 생활방역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특히, 구강은 바이러스 유입 통로로 위생관리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생활방역의 일환인 해당 수칙을 통해 생활 속 구강 관리가 철저히 이뤄지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은 “감염과 구취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평소의 구강 관리 습관임”을 강조하며, “소소한 생활습관의 변화가 힘든 만큼 온 국민이 올바른 구강 관리와 더불어 건강한 생활 실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 「생활 속 구강 관리 수칙」홍보물(포스터, 카드뉴스 등)은 누구나 활용 가능하며, 보건복지부 및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누리집에서 내려받기(다운로드) 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http://www.mohw.go.kr) >> 정보 >> 홍보자료 >> 카드뉴스
    * 한국건강증진개발원(https://www.khealth.or.kr) >> 자료실 >> 홍보자료



[ 보건복지부 2020-09-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85 서울시-식약처 공조수사로 의료기기, 화장품 위반사범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6 32
9184 공항에서 특별한 결혼식을! ‘KAC 포티웨딩’ 주인공을 모십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6 54
9183 변형카메라 판매부터 피해자 지원까지 단계별 개선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6 72
9182 요즘 대세 '드론', 추석연휴 때 날려볼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43
9181 생활 속 불합리한 차별! 법제처가 국민과 함께 개선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34
9180 어린이 통학용 경유차, LPG 신차로 전환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47
9179 설계·시공 일괄입찰 공사 불공정 관행 바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41
9178 올 추석부터 전국 191개 휴게소 무료 와이파이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36
9177 (주)일화의 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한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54
9176 공정위 신뢰제고방안 최종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42
9175 대규모유통업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46
9174 현대, 포드, 다임럭트럭, BMW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50
9173 수확의 계절 가을에 열리는 국가무형문화재 10월 공개행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54
9172 모바일 앱 유료서비스 쉽게 해지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38
9171 2017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8 42
Board Pagination Prev 1 ...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