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20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작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은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하기
   - 어패류 익혀먹기, 바닷물 접촉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이 작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020년 8월 31일 기준 신고환자 37명으로 전년 동기간 17명 대비 2.18배 증가
□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패혈증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매년 8월∼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 최근 5년간 월별 평균 환자 신고 수: 2월 0.2명, 4월 0.4명, 6월 2.2명, 7월 4.2명, 8월 13.4명, 9월 15.4명, 10월 7.8명, 11월 1.8명, 12월 0.2명 (붙임 2)
 ○ 감염 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대부분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 그림 붙임 참조 >

□ 또한, 비브리오패혈증은 만성간질환,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2020년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인한 사망* 환자 5명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간질환, 알코올중독,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비브리오 패혈증 고위험군이었다.
     * 2020년 사망 신고환자 12명 중 7명은 역학조사 중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만성 간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 또한, 어패류를 조리할 때에는 가급적으로 5℃ 이하로 저온 저장, 85℃ 이상으로 가열처리하거나 흐르는 수돗물에 씻은 후 섭취하고,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소독 후 사용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먹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며,
 ○ 특히, 만성간질환자,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어패류는 5도 이하저온 보관한다.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 조개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 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 이상 더 가열해야 함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보건복지부 2020-09-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53 때 이른 무더위,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06.24
2152 기계톱 안전사고, 60대 이상 고령층에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2151 가전제품 쇼핑몰 미도파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6.24
2150 렌터카, 차량 사고 시 수리비 등 과다 청구로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6.22
2149 무신고 수입.제조일자 변조 식품첨가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2
2148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6.21
2147 고기에서 혈관이 나온다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6.21
2146 불법사금융 이제 그만! 불법대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1.06.21
2145 유아동용 부력 보조복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06.17
2144 물놀이 안전수칙 정보무늬(QR코드)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1.06.16
2143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6.16
2142 필립스코리아 '개인용 인공호흡기', '양압지속유지기' 위해 정보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06.14
2141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6.14
2140 변덕스러운 여름 날씨, 산행 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1.06.10
2139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6.09
2138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6.08
2137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에 따른 예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6.08
2136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8
2135 종신보험은 사회초년생의 목돈 마련에 적합하지 않습니다!_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06.08
2134 만트럭버스코리아(주) 덤프트럭 1,868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