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1년 건강보험료율 인상률 2.89%(6.67%→6.86%)로 결정
- 보건복지부, 2020년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개최 (8.27) -

   

2021년도 건강보험료율은 2.89% 인상하여, 직장가입자는 ’20년 6.67%→ ’21년 6.86%, 지역가입자 보험료 부과점수당 금액은 ’20년 195.8원 → ’21년 201.5원으로 함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CMV) 감염 및 질환 예방제인 ‘프레비미스정․주’(‘20.9~) 등 3개 의약품 신규 건강보험 적용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8월 27일(목) 2020년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위원장 : 김강립 차관)를 열어, △2021년도 건강보험료율 결정,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안에 대하여 보고 받았다고 밝혔다.

각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1년 건강보험료율 결정 >

2021년도 건강보험료율은 2.89% 인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번 건강보험료율 조정에 따라 2021년에 직장가입자는 월 평균 보험료(본인부담)가 11만9328원(’20.4월 부과기준)에서 12만2727원으로 3,399원 증가(보험료율 6.67% → 6.86%)로 하고

지역가입자는 월 평균 보험료(세대부담)가 9만4666원(’20.4월 부과기준)에서 9만7422원으로 2,756원 증가(보험료 부과점수당 금액 195.8원 → 201.5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 신약 등재 >

의약품의 건강보험 신규 적용 확대를 위해 3개 의약품(8개 품목)에 대한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안을 심의·의결하였다.

① 레코벨프리필드펜(3개 품목) : 난임 치료 목적의 과배란 유도 주사제

② 온젠티스캡슐(1개 품목): 파킨슨병 치료제

③ 프레비미스정·주(4개 품목):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수술 성인 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및 질환 예방 약제

3개 의약품은 임상적 유용성, 비용효과성, 관련학회 의견, 제외국 등재현황 등에 대해 심사평가원의 약제급여평가위원회 평가, 건강보험공단과 협상을 거쳐 상한금액(또는 예상청구액)이 결정되었다.

제품명(성분명)

제약사명

상한금액

레코벨프리필드펜 (follitropin delta)

한국페링제약()

71494/(12μg/0.36mL)
20183/(36μg/1.08mL)
393217/(72μg/2.16mL)

온젠티스캡슐> (opicapone)

에스케이케미칼

2,515 / 캡슐

프레비미스정·(letermovir)

한국엠에스디()

145500/·(240mg) 238700/·(480mg)

이번 신규 의약품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로 환자의 의료비 부담은 비급여 대비 약 5% ~ 20% 수준으로 크게 완화될 예정이다.


환자부담 완화 사례

  • 레코벨프리필드펜

    - 비급여 시 1주기(평균 9일) 투약비용(제약사 최초 신청가 기준) 약 94만1544원

    → 건강보험 적용 시 1주기 투약비용 환자부담 약 19만3033원(본인부담 30%) 수준으로 경감

  • 온젠티스캡슐

    - 비급여 시 1년 투약비용(제약사 최초 신청가 기준) 약 200만 원

    → 건강보험 적용 시 1년 투약비용 환자부담 약 9만 원(산정특례 상병으로 본인부담 10% 적용) 수준으로 경감

  • 프레비미스정․주

    - 비급여 시 치료기간 당 투약비용(제약사 최초 신청가 기준) 약 1,800만 원

    → 건강보험 적용 시 치료기간 당 투약비용 환자부담 약 75만 원(암상병으로 본인부담 5% 적용) 수준으로 경감

건정심 의결에 따라,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개정하여 레코벨프리필드펜과 프레비미스정·주는 9월 1일부터 급여를 적용하고, 온젠티스캡슐은 제약사의 국내 공급 일정을 고려하여 10월 1일부터 급여를 적용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은 “난임 치료 목적의 과배란 유도 주사제 등 3개 의약품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를 확대 적용하여, 환자의 비용 부담완화와 치료 접근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20-08-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23 2021년 건강기능식품 원료 재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9 6
» 2021년 건강보험료율 인상률 2.89%(6.67%→6.86%)로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8 9
12621 2021년 공동주택 가격 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8 51
12620 2021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5 21
12619 2021년 국가건강검진 기간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6 21
12618 2021년 국민연금 급여액 0.5% 인상, 1.25일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1 12
12617 2021년 귀속 면세사업자 사업장 현황신고는 2월 10일까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48
12616 2021년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9
12615 2021년 당신에게 꼭 맞는 섬을 추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3
12614 2021년 및 2022년 가구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2 8
12613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7 18
12612 2021년 사회조사 결과(복지, 사회참여,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7 7
12611 2021년 상반기 선불식할부거래업자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9 11
12610 2021년 상반기 온라인쇼핑 소비자 피해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3 19
12609 2021년 상반기 주요 시행법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5 15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