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전철역(도시ㆍ광역철도) 승강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발빠짐ㆍ추락 사고를 ’17년까지 50% 저감하기 위하여 「승강장 발빠짐 사고 저감대책」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6년간 승강장 발빠짐 사고는 월 평균 8건이 발생하였으며, 주로 고정식 안전발판의 설치가 어려운 곡선 승강장 중 20개 역사에서 전체 사고의 63%가 집중발생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어린이, 노약자 등 교통취약계층보다는 청ㆍ장년층의 사고비율이 오히려 높으며 이는 스마트폰의 보급 및 스크린도어 설치 확대에 따른 승객의 주의력 분산이 주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연령별 분포(서울메트로) : 10대 이하(10%), 20∼30대(41%), 40대 이상(49%)

이러한 승강장 발빠짐 사고를 저감하기 위한 근본대책으로 3가지 방안이 마련됐다. 먼저 사고 빈발 역사(곡선 승강장)를 집중 개선한다.

도시철도는 승강장 발빠짐 사고가 연평균 2건 이상 발생한 역사(14개역)에 대해서는 ’17년까지 접이식 안전발판의 설치를 완료하고, 연평균 1건 이상 발생한 역사(6개역)에 대해서는 ’18년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상위 20개 역사에 대한 우선 설치 완료 후 철도운영자별 우선순위에 따라 향후 단계적으로 접이식 안전발판의 설치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광역철도는 승강장과 차량의 간격, 이용객수 등을 고려한 우선순위에 따라 ’18년까지 곡선 승강장에 대한 접이식 안전발판의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한, 차량 승ㆍ하차 시 승객 스스로가 발빠짐에 주의할 수 있도록 홍보 등을 통하여 안전수칙 준수문화를 확산한다.

‘승강장 발빠짐 주의’, ‘스마트폰 사용 주의’를 주제로 철도운영기관과 합동 캠페인을 시행하고, 웹툰, 역사 내 모니터를 통한 안전수칙 홍보도 병행할 예정이다.

현재 승강장과 차량 간의 간격이 넓은 역에 도착할 경우 차량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발빠짐 주의 안내 방송을 승강장에도 확대 시행하여 승객이 승차 시에도 발빠짐에 주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시인성 개선 설비 등 안전보완설비의 설치를 확대하고 장애인의 이용편의성도 높이는 등 시민안전에 노력을 기울인다.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틈에 대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승강장 연단에 발광 다이오드(LED) 점멸등 등 주의력을 환기시킬 수 있는 설비를 확대 설치하고, 안전발판이 설치되지 않은 역에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이동식 안전발판을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부 구본환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대책은 「철도안전혁신대책(7.29)」과 「철도역사 생활안전사고 저감대책(8.7)」의 일환으로 추진하였으며, 시설 보완과 더불어 이용자의 안전수칙 준수문화 확산이 사고 저감에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 국민이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전사고 저감대책을 내실 있게 추진하여 ’17년까지 철도 역사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안전사고를 30% 저감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사례 1) 00역 승강장에서 지하철 전동차를 타려던 7살 아이가 승강장 틈 사이로 떨어져 몸통이 끼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당 역은 곡선으로 설계된 탓에 전동차와 승강장 간 거리가 19cm에 달한다. (‘15.5월)

(사례 2) 00역을 자주 이용하는 뇌성마비 장애인 00씨는 승강장 틈에 휠체어 바퀴가 빠져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당 역은 곡선 승강장으로 간격이 20cm이다.(‘15.7월)
 
[국토교통부 2015-12-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5 23년 2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및 분쟁해결기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2
1894 기아·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2
1893 8.18.부터 50인 미만 사업장도 휴게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6 12
1892 올해 에너지바우처 5월 31일부터 발급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2
1891 2023년 1/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2
1890 용산어린이정원 안전성 검증 세 차례 모두 '합격'...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깨끗"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8 12
1889 지역금연지원센터와 함께 금연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8 12
1888 일하는 사람 모두 고용.산재보험 가입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12
1887 생활 속 유해물질 안전정보를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2
1886 '23년 3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2
1885 연령ㆍ구간별 세분화, 청년 혜택을 강화한 KT의 5G 요금제 신설 신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6 12
1884 불법 의심 아파트 직거래 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2
1883 포드·대창모터스·야마하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2
1882 2022년 4분기 및 연간 강원지역 경제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12
1881 소비자 안내를 강화하고 공시를 개선하는 등금리인하요구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9 12
Board Pagination Prev 1 ...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