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숙박시설에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의무화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개정·공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20 8 25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가스보일러를 신설·교체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와 다중이용시설 불특정 다중이장시간 이용하는 숙박업소* 일산화탄소 경보기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 손님이 잠을 자고 머무는 시설로서공중위생관리법 따른 영업신고 대상
 
이는 일산화탄소중독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안전성 확보조치로서, 업계 의견수렴*( 8) 통하여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 마련·시행하는 것으로
 
* 일산화탄소 경보기 관련 가스보일러 경보기 제조사 간담회 8 개최(`19~20)
 
가스사고 환경변화가 반영되고, 정부와 기관, 업계를 대상으로 하는 의견수렴과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번 시행규칙 개정안에는 야드트랙터의 연료전환(경유LNG) 위한 이동식 LNG 충전사업 허용 하천횡단 매설배관의 합리적 기준 개선 도시가스 시설의 안전은 확보하고 규제는 완화 있도록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도시가스배관 매설상황 확인 제도 강화( 56)
 
- 굴착공사자의 도시가스배관 매설상황 조회 요청기한을 굴착공사 24시간 전까지 규정하고, 가스사용시설내 굴착계획을 신고할 경우에는 가스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신고
 
- 소규모급수공사는 긴급 굴착공사에서 제외하여 일반 굴착공사와 같이 공사 시작 24시간 전까지 배관 매설상황을 확인
 
이동식 액화도시가스 야드트랙터 충전사업 정의 시설기준 신설( 2조제3, 별표62 신설, 별표144호나목3) 개정)
 
- LNG 탱크로리를 이용하여 야드트랙터에 충전을 있도록 이동식 액화도시가스 야드트랙터 충전사업 신설하고 시설·기술·검사 기준 운전자 안전교육 근거 마련
 
하천횡단 매설배관 설치·유지관리 기준 개선( 별표 53호가목 나목 개정, 별표 63호가목 나목 신설)
 
- 하천의 경우 외부요인에 따라 하상변동이 심하므로 매설배관 설치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평가 기준 유지관리 기준 신설
 
정압기지(정압기) 동일 유량의 계량설비 교체 공사시 기술검토 제외( 12조제5항제2다목)
 
- 계량설비의 변경공사 기술검토 대상은 유량 변경 수반하는 경우로 제한하여 동종 설비의 단순 교체는 기술검토를 제외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개정을 통해 도시가스 주요사고인 굴착공사 사고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감소되고 항만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저감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한편,
 
이동식 LNG 야드트랙터 충전사업 허가를 위한 시설·기술·검사 상세기준(KGS Code) 하반기에 제정하고
 
굴착사고 예방,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관련 대국민 홍보 도시가스사와 시공업계를 대상으로 사전교육을 강화하는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2020-08-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54 어르신들 무더위에 건강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50
4753 어르신들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6 39
4752 어르신들, 11월 안에 보건소에서 독감 예방접종 받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7 119
4751 어르신들, 11월 안에 보건소에서 독감 예방접종 완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6 39
4750 어르신들, 겨울 추위에 이렇게 대비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6 97
4749 어르신들,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 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30 18
4748 어르신들을 위해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환경을 만들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7 9
4747 어르신들이 사용하는 제품 안전 사용 정보 제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2 32
4746 어르신들이 씹고 삼키기 편한 고령친화식품 신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6 23
4745 어르신을 상대로 한 식품.의료기기 허위광고 행위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4 108
4744 어르신을 위한 체계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 낙상 및 근감소증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30 13
4743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1단계 : 노인 커뮤니티케어)」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0 36
4742 어린이 교통사고 재발 위험 높은 보호구역 긴급 특별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8 13
4741 어린이 교통사고 취약지역 집중관리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4740 어린이 기호식품 등 영양성분 표시 준수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35
Board Pagination Prev 1 ...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