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권익위, “무주택자 65.3% 공공임대주택 및 신규택지공급 확대해야” 설문조사결과 발표

- 국민생각함 통해 1만2천여 명 참여, 주택소유 여부에 따라 부동산 문제에 대한 인식 큰 차이 -


□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부동산 대책’에 대한 국민의 생각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부동산 대책에 대해 지난달 23일부터 14일간(7월 23일~ 8월 5일) 국민생각함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유주택자의 경우 과반수가 「현 주택시장의 가장 큰 문제」를 ‘과도한 규제’라고 응답(51.3%)했으며 그 해결방법으로 ‘용적률 등 건축규제 완화(31.5%)’와 ‘재건축·재개발규제 완화(24.1%)’등을 제시했다.
 
   반면 무주택자는 과반수가 ‘지역 간 양극화 심화(21.3%), 정책에 대한 불신(20.9%), 수급 불균형(20.4%)’ 등 다양한 원인이 문제라고 응답했으며 해결방법으로 ‘공공·임대주택 확대(33.4%)’와 ‘신규 택지 공급 확대(31.9%)’를 제시했다.
 
□ 국민권익위는 정부의 ‘6·17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 발표일 전후 약 한 달(6.8.∼7.19.)간 국민신문고에 총 4천여 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돼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보완방안을 제시하고자 정책참여 플랫폼인 국민생각함*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국민생각함 : 국민권익위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국민 누구나 참여해 정부 정책 등과 관련된 의견을 제시·토론하거나 설문할 수 있는 참여 플랫폼
 
   조사에는 총 12,114명의 국민이 참여했으며 이 중 2,416명은 설문문항 답변 이외 적극적인 추가 의견을 제시했다. 응답자 중 71.6%가 유주택자이고, 28.4%가 무주택자이다.
 
□ 설문조사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가장 필요한 부동산 대책」에 대해 유주택자는 ‘건축규제완화’(31.5%), ‘재개발규제완화’(24.1%), ‘공공·임대주택 확대’(19.9%), ‘신규택지공급’(19.7%) 순으로 답했다.
 
   반면 무주택자는 ‘공공·임대주택 확대’(33.4%), ‘신규택지공급’(31.9%),  ‘건축규제완화’(17.5%), ‘재개발규제 완화’(10.8%) 순으로 답했다.
 
   이는 ‘수도권 유휴부지를 활용한 신규택지공급’, ‘용적률 상향 등 건축규제 완화’ 등이 주요 내용인 ‘8. 4. 부동산 공급 대책’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 유주택자가 원하는 주택공급 확대 방식>
< 무주택자가 원하는 주택공급 확대 방식>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필요한 대책」은 주택 소유 여부에 상관없이 ‘실수요자의 대출제한 완화’, ‘실수요자 중심의 청약제도 개편’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필요한 대책 >

□ 설문내용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시된 의견으로는 ▴“양도세·취득세 등 거래세를 인하해 거래물량을 늘려야한다” ▴“법인 사업자 명의로 투자하는 개인을 제한해야 한다” ▴“공공기관 이전 등 수도권 집중 해소방안 없는 부동산 정책은 임시방편이다”라는 취지의 내용이 많았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이번 국민권익위 조사에서는 그동안 부동산 정책 관련 여론조사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던 무주택자의 의견을 수렴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라며, “국민권익위는 이번 「부동산 대책」설문조사를 통해 모여진 국민의 의견을 기초로 관계부처에 정책·제도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라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0-08-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64 2023년 1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등록 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5 15
12463 복잡한 지하상가, 실내내비게이션으로 쉽게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5
12462 부적절한 체중조절은 심한 생리통의 위험도를 높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9
12461 위기정보 44종으로 확대, 복지사각지대 발굴 촘촘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0
12460 “행정심판도 음주운전 엄격하게 심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4
12459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증가세 지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1
1245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12457 전세사기 피해 종합금융지원센터 개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0
12456 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0
12455 체불된 임금, 서류상 사업주 아닌 실제 사업주에게 청구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2
12454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12453 내용물은 비우고 상표띠는 뜯고 뚜껑은 닫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16
12452 누리소통망(SNS) 부당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20
12451 '22년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및 주요 특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24
12450 우회전 일시정지 위반행위, 4월 22일부터 본격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92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