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유쿠션은 수유모가 안정적인 수유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 피로도를 덜어주는 육아용품으로 신생아가 장시간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철저한 유해물질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수유쿠션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합성수지 폼 내장재를 사용한 D자형 수유쿠션

3개 제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납 검출

수유쿠션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어린이제품으로 분류되며, ‘유아용 섬유제품 안전기준*’에 따른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0016호(2017.1.31.)

유해물질 함량 시험 결과, 조사대상 수유쿠션 16개 제품 중 3개 제품(18.8%)의 지퍼손잡이에서 안전기준(300mg/kg 이하)을 최대 3.1배(최소 351mg/kg ~ 최대 930mg/kg) 초과하는 납이 검출돼 기준에 부적합했다.

   ※ 3개 제품을 제조·판매한 사업자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시 교환·환불하기로 회신함.

                                                                            [ 수유쿠션 납 기준 초과 검출 제품 및 시험결과 ]

제품명
(색상 또는 타입, 스타일번호)

브랜드명

제조원/판매원

검출부위

총납(mg/kg)

기준: 300(금속기질)

오가닉 D자 수유쿠션
(리프)

자연생각

윌비스

지퍼손잡이

930

티니팅스 수유쿠션
(민트 피치기모)

티니팅스

디알 컴퍼니

391

G8 수유쿠션
(블루)

베베띠랑

기원플러스

351

납(Pb, lead) :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 식욕부진, 빈혈, 근육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음.

개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또한, ‘합성수지제 어린이용품(바닥매트) 안전기준*’을 준용**해 실시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 시험에서는 조사대상 수유쿠션 16개 제품 중 3개(18.8%) 제품에서 2-에틸헥소익 에시드가 최소 0.35mg/(㎡·h)에서 최대 0.65mg/(㎡·h) 수준으로, 1개(6.3%) 제품에서 폼알데하이드가 0.13mg/(㎡·h) 수준으로 검출됐다.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0016호(2017.1.31.)

   ** 수유쿠션에 적용 가능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기준이 없어 ‘합성수지제 어린이용품(바닥매트)’ 안전기준을 준용함.

이는 준용한 기준의 허용치(2-에틸헥소익 에시드 0.25mg/(㎡·h) 이하, 폼알데하이드 0.05mg/(㎡·h) 이하)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었다.

   ※ 4개 제품을 제조·판매한 사업자는 현재 관련 기준은 없으나 신생아가 사용하는 제품임을 감안하여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시 교환·환불 등 선제적 조치를 하기로 회신함.

[ 수유쿠션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제품 및 시험결과 ]

제품명
(색상 또는 타입, 스타일번호)

브랜드명

제조원/판매원

휘발성유기화합물(mg/㎡ㆍh)

비고

2-에틸헥소익 에시드

폼알데하이드

0.25 이하

0.05 이하

아미고 수유쿠션
(블루)

코지베이비

누리베베

0.65

불검출

-

티니팅스 수유쿠션
(민트 피치기모)

티니팅스

디알 컴퍼니

0.43

불검출

-

맘베허그 D형 수유쿠션
(베이비블루)

마더이즈

()엠앤비

0.35

불검출

-

로얄몬드 수유쿠션

큐비앤맘

큐비앤맘

준용기준이하

0.13

194월 생산 제품에 한함.

2-에틸헥소익 에시드 : 증기를 흡입하거나 피부접촉을 통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으며, 눈·코·목의 점막을 자극할 수 있음.

폼알데하이드 :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만성기관지염, 호흡기·눈 점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인체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고 있음.

특히 수유쿠션은 신생아가 1일 평균 5시간, 생후 최장 6개월까지 장시간 사용하는 제품이며, 일부 제품의 경우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우려가 높은 합성수지 폼을 내장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휘발성유기화합물 안전기준 적용대상이 어린이용 바닥매트에 한정되어 있는 만큼 적용대상 어린이제품의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합성수지 폼 제조 과정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용매 또는 촉매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정관리가 미흡할 경우 완제품에 잔류해 제품 사용 중 공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음.

◎ 7개 제품이 표시기준에 부적합

수유쿠션 등 유아용 섬유제품은 세탁을 하더라도 떨어지지 않도록 박음질 또는 그와 동등한 효과가 있는 방법으로 섬유의 조성 또는 혼용률, 취급상 주의사항, 제조국, 수입·제조사명 등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KC마크를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16개 중 7개(43.8%) 제품이 일반 표시사항을 일부 또는 전부 누락했고, 이 중 5개(31.3%) 제품은 KC마크 표시를 누락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수유쿠션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휘발성유기화합물 안전기준 적용대상 어린이제품의 확대 검토를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0-08-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81 양육비 지급 회피하는 비양육부·모의 동의 없이도 주소·근무지 조회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5 19
4780 양육비 지급 회피하는 비양육부·모의 주소·근무지 조회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0 54
4779 양육비 채무 불이행자 출국금지 요청 기준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40
4778 양육비 채무자의 소득·재산 조사로 양육비 채권 회수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0 25
4777 양육비채무액 3천만원 이상, 양육비 3회 미납시 출국금지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0 14
4776 양육수당·출산지원금도 출생신고 할 때 함께 신청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6 151
4775 양질의 영상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CT, MRI 품질관리기준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5
4774 양파 ·쇠고기 가격 지속 상승, 배추 · 무 · 돼지고기는 하락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89
4773 어깨의 극심한 통증, 석회성 힘줄염 증가 50대 여성 적신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3 124
4772 어느 곳에서 잃어버리든지 분실 즉시 누리망에서 보면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9 95
4771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시대 개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8
4770 어딘지 알기 어려운 해양사고 위치 정보. 문자메시지로 손쉽게 전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6 22
4769 어떠한 경우에도 대출중개수수료를 주지 마세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117
4768 어떤 PC에서도 민원서류 자유롭게 작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109
4767 어려서부터 금융을 재미있게 배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