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지속적 증가, 감염관리 강화 당부

국내 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전년도 동기간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18년 5,307건 → ’19년 6,457건 → ’20년 7,446건(6.30.현재, 잠정치)

특히, 요양병원 신고건 비율 증가로 CRE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일선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지자체의 적극적 감염관리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국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전년도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의료기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CRE 감염증은 2017년 6월 3일부터 전수감시 감염병으로 지정하여 의료기관 내 집단감염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전수감시로 전환된 이후, 신고 건은 5,717건(’17) → 11,953건(’18) → 15,369건(’19) → 7,446건(’20.6.30. 기준)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 동기간(1∼6월) 비교: 5,307건(’18) → 6,457건(’19) → 7,446건(’20)

- 특히, CRE 감염증 신고 중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70세 이상이 전체 신고의 60% 이상에 달했으며, 요양병원 신고건의 비율도 2018년 4.0%에서 2020년 10%로 증가하였다.

* 70세 이상 비율 : ’18년 57% → ’19년 59% → ’20년 62%

CRE 감염증 증가의 원인으로는, 전수감시 전환 이후 신고에 대한 의료기관의 인식 향상, 환자의 의료기관 이용 증가,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감염관리 자원 부족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CRE 감염증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의 종류가 제한되어,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CRE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원칙

- CRE 환자와 접촉하기 전‧후에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용한 손 위생

- CRE 환자 병실에 들어가기 전 장갑, 가운 등(필요시 마스크, 눈 보호구 포함) 착용

- CRE 환자는 1인 격리실 격리 또는 코호트 격리 시행

- 의료용품(혈압계, 체온계 등)은 환자 별로 개인 물품을 사용하며 불가피할 경우 사용 후 적절히 소독

- CRE 환자 병실에서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 및 손 위생 시행

질병관리본부는 요양병원 CRE 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요양병원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를 개발하여 배포(’20.6.)하고, 전국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KONIS) 대상을 요양병원까지 확대하는 한편,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장내세균속균종(CPE)* 감염증 집단감염 관리를 위해, 지자체 담당자 대상 감시・관리・역학조사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분석 자료를 공유하는 등 관련 업무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내성장내세균속균종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 CPE)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의료기관 내 CRE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해 일선 의료기관 및 지자체에서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며,

“앞으로도 의료기관 종별 특성에 맞춰 의료관련 감염병의 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CRE 감염증 개요 및 진단・신고 기준
  2. CRE 감염증 발생현황
  3. 다제내성균 감염예방관리(리플릿)

[보건복지부 2020-08-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49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 전반적으로 향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80
9148 어린이 스포츠 안전모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6
9147 어린이 비타민캔디, 비타민 보충하려다 당류 섭취 많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7 21
9146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함께 지켜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6
9145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전국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9144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8 20
9143 어린이 보호구역 내 무인 교통단속카메라 설치 확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9 32
9142 어린이 맞춤형 안전대책 추진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29
9141 어린이 맞춤 '치약.구중청량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9 13
9140 어린이 래쉬가드, 건조속도·색상변화 등에서 제품 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9 18
9139 어린이 등하굣길 안전, 주민참여예산제로 해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2 16
9138 어린이 등·하굣길 안전지킴이,‘C-ITS’가 스마트폰 속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37
9137 어린이 낙상 위험 있는 NeoRok Stool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213
9136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으로 고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9 41
9135 어린이 기호식품 프랜차이즈 영양 표시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9 13
Board Pagination Prev 1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