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지속적 증가, 감염관리 강화 당부

국내 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전년도 동기간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18년 5,307건 → ’19년 6,457건 → ’20년 7,446건(6.30.현재, 잠정치)

특히, 요양병원 신고건 비율 증가로 CRE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일선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지자체의 적극적 감염관리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국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전년도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의료기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CRE 감염증은 2017년 6월 3일부터 전수감시 감염병으로 지정하여 의료기관 내 집단감염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전수감시로 전환된 이후, 신고 건은 5,717건(’17) → 11,953건(’18) → 15,369건(’19) → 7,446건(’20.6.30. 기준)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 동기간(1∼6월) 비교: 5,307건(’18) → 6,457건(’19) → 7,446건(’20)

- 특히, CRE 감염증 신고 중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70세 이상이 전체 신고의 60% 이상에 달했으며, 요양병원 신고건의 비율도 2018년 4.0%에서 2020년 10%로 증가하였다.

* 70세 이상 비율 : ’18년 57% → ’19년 59% → ’20년 62%

CRE 감염증 증가의 원인으로는, 전수감시 전환 이후 신고에 대한 의료기관의 인식 향상, 환자의 의료기관 이용 증가,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감염관리 자원 부족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CRE 감염증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의 종류가 제한되어,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CRE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원칙

- CRE 환자와 접촉하기 전‧후에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용한 손 위생

- CRE 환자 병실에 들어가기 전 장갑, 가운 등(필요시 마스크, 눈 보호구 포함) 착용

- CRE 환자는 1인 격리실 격리 또는 코호트 격리 시행

- 의료용품(혈압계, 체온계 등)은 환자 별로 개인 물품을 사용하며 불가피할 경우 사용 후 적절히 소독

- CRE 환자 병실에서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 및 손 위생 시행

질병관리본부는 요양병원 CRE 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요양병원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를 개발하여 배포(’20.6.)하고, 전국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KONIS) 대상을 요양병원까지 확대하는 한편,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장내세균속균종(CPE)* 감염증 집단감염 관리를 위해, 지자체 담당자 대상 감시・관리・역학조사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분석 자료를 공유하는 등 관련 업무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내성장내세균속균종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 CPE)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의료기관 내 CRE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해 일선 의료기관 및 지자체에서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며,

“앞으로도 의료기관 종별 특성에 맞춰 의료관련 감염병의 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CRE 감염증 개요 및 진단・신고 기준
  2. CRE 감염증 발생현황
  3. 다제내성균 감염예방관리(리플릿)

[보건복지부 2020-08-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94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1 47
9193 어린이보호구역 안전관리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34
9192 어린이보호구역 내 주·정차 위반 시 과태료·범칙금 2배에서 3배로 상향…「도로교통법 시행령」, 5월 1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6 63
9191 어린이보호구역 내 불법 노상주차장 모두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37
9190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대부분 보행 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6 24
9189 어린이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4 81
9188 어린이날 맞이 학교주변 조리.판매업소 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8 67
9187 어린이날 대비 학교주변 식품 위생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93
9186 어린이날 대비 어린이 기호식품 전국 일제 점검 사전 알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0
9185 어린이날 대비 어린이 기호식품 전국 일제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4 51
9184 어린이급식 안전하고 똑똑하게! 냉장고는 스마트센서가, 식단은 인공지능(AI)이 도와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1 16
9183 어린이가 삼키고 질식할 우려 있는 WESTCOTT 지우개 판매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4
9182 어린이·청소년들 인플루엔자 감염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6 100
9181 어린이·청소년 약 2명 중 1명(46.3%)은 당류 과다 섭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08
9180 어린이·유아용풀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83
Board Pagination Prev 1 ...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