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철저한 손 씻기,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 조리 수칙 준수

수해지역에서는 특히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수인성 감염병 주의

장마 이후 일본뇌염, 말라리아 모기매개감염병 및 렙토스피라증각별한 주의가 필요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장마가 지속되고 있고, 특히 집중 호우로 인한 수해가 발생함에 따라,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 세균성ㆍ 바이러스성ㆍ원충성감염증장관감염증 등의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고, 장마철에는 식중독의 발생 위험률이 높아지므로, 


 ○ 안전한 물(포장된 생수나 끓인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고,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으며, 조리수칙 및 개인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수해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유행성 눈병(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이나 피부병도 주의하여야 한다.


 ○ 피부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면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복과 긴 장화를 착용하고,


 ○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수해복구 작업 중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해야 한다.


□ 또한, 태풍이나 홍수 이후 고여 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감염된 동물의 소변을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에 감염될 우려가 높으므로,


 ○ 벼 세우기 작업 등을 할 경우 반드시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 장화 및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한편, 장마철에는 고인물이나 습한 날씨로 모기가 잘 증식할 수 있어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및 일본뇌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는 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저녁시간에 외출자제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풍수해로 인한 이재민 임시 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단체생활로 인해 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병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마스크 착용, 2m 거리두기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 에서는 안전한 물과 음식물을 제공하고, 대피주민들이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부터(‘20.5.1~10.4) 하절기에 많이 발생하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 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조사 및 대응을 위해 「24시간 하절기 비상방역 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집단설사가 발병할 경우, 보건소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장마철 건강관리 준수 사항

 

 

 

각종 수인성감염병과 유행성 눈병 등 대부분의 감염병은 철저한 손 씻기로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준수가

    가장 중요함.

음식물과 조리과정에 대한 주의가 매우 중요하므로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며,

   -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하고,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함.

쓰러진 벼 세우기 등 작업시에는 보호복, 장화 및 고무장갑 등을 착용하기

집주변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야간 외출자제, 외출시 밝은색 긴팔긴바지 입기, 기피제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발열, 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함.

 




[ 질병관리본부 2020-08-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49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Pileje 유산균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2.03.14
1748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2.03.14
1747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3.14
1746 자속 지수가 높고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는 자석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2.03.14
1745 원자재 ETF,ETN 투자유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3.17
1744 LG베스트몰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2.03.17
1743 업자닷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2.03.17
1742 자동차 동반석 등받이 지나치게 눕히면 사고 시 상해 위험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2.03.17
1741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 이용 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3.21
1740 현장 방문을 통한 휴대폰 개통시 계좌 비밀번호 등을 알려달라는 사기를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2.03.24
1739 고령층 대상, '관절건강' 부당광고하는 식품 등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2.03.24
1738 봄 산행, 실족과 조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2.03.24
1737 황색포도상구균 검출된 '치즈케이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3.25
1736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25
1735 삼성 온라인(주)디지털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2.03.28
1734 복어, 안전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29
1733 사용중지 중인 LG전자(주)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4.01
1732 납 과다 함유된 Langsdom 이어폰(JM2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2.04.01
1731 단추형전지 배터리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삼킴 위험있는 블루투스 추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2.04.01
1730 부품 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2.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