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철저한 손 씻기,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 조리 수칙 준수

수해지역에서는 특히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수인성 감염병 주의

장마 이후 일본뇌염, 말라리아 모기매개감염병 및 렙토스피라증각별한 주의가 필요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장마가 지속되고 있고, 특히 집중 호우로 인한 수해가 발생함에 따라,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 세균성ㆍ 바이러스성ㆍ원충성감염증장관감염증 등의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고, 장마철에는 식중독의 발생 위험률이 높아지므로, 


 ○ 안전한 물(포장된 생수나 끓인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고,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으며, 조리수칙 및 개인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수해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유행성 눈병(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이나 피부병도 주의하여야 한다.


 ○ 피부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면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복과 긴 장화를 착용하고,


 ○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수해복구 작업 중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해야 한다.


□ 또한, 태풍이나 홍수 이후 고여 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감염된 동물의 소변을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에 감염될 우려가 높으므로,


 ○ 벼 세우기 작업 등을 할 경우 반드시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 장화 및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한편, 장마철에는 고인물이나 습한 날씨로 모기가 잘 증식할 수 있어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및 일본뇌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는 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저녁시간에 외출자제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풍수해로 인한 이재민 임시 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단체생활로 인해 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병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마스크 착용, 2m 거리두기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 에서는 안전한 물과 음식물을 제공하고, 대피주민들이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부터(‘20.5.1~10.4) 하절기에 많이 발생하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 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조사 및 대응을 위해 「24시간 하절기 비상방역 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집단설사가 발병할 경우, 보건소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장마철 건강관리 준수 사항

 

 

 

각종 수인성감염병과 유행성 눈병 등 대부분의 감염병은 철저한 손 씻기로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준수가

    가장 중요함.

음식물과 조리과정에 대한 주의가 매우 중요하므로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며,

   -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하고,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함.

쓰러진 벼 세우기 등 작업시에는 보호복, 장화 및 고무장갑 등을 착용하기

집주변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야간 외출자제, 외출시 밝은색 긴팔긴바지 입기, 기피제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발열, 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함.

 




[ 질병관리본부 2020-08-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11 [공지]가전제품 판매사이트 히든가전, 히든스토어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42 2015.06.12
431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5.∼2015.6.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9 2015.06.15
430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12.∼2015.6.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46 2015.06.22
4308 [공지]휴대기기 할인사이트 올레모바일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55 2015.07.06
430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26.∼2015.7.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7 2015.07.06
430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3.∼2015.7.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28 2015.07.13
430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0.∼2015.7.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6 2015.07.21
430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24.∼2015.7.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2 2015.08.03
430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7.∼2015.7.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6 2015.08.03
4302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7 2015.08.03
430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31.∼2015.8.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6 2015.08.10
430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1.∼2015.8.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0 2015.08.31
429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8.∼2015.9.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0 2015.09.07
4298 [공지] 판매사이트 핫드림몰, 드림1544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9 2015.09.10
429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4.∼2015.9.1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1 2015.09.14
429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1.∼2015.9.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3 2015.09.22
429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8.∼2015.9.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8 2015.09.30
429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25.∼2015.10.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29 2015.10.05
429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0.2.∼2015.10.1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6 2015.10.19
429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0.16.∼2015.10.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5 2015.10.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