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계 스포츠인 루지의 썰매에 동력장치 없이 바퀴, 브레이크 등을 설치한 카트로 경사로를 주행하는 루지 체험장이 인기를 끌면서 전국적으로 시설 수가 늘고 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국의 9개 루지 체험장을 전수 조사한 결과,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시설·안전모 관리가 미흡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조사대상 9개소 중 5개소(55.6%)의 루지 카트 내부 브레이크 패드에서「석면안전관리법」상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됐고, 8개소* 중 1개소(12.5%)의 루지 카트 손잡이 부품(핸들 그립)에서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어린이제품 공통 안전기준**’(0.1% 이하)을 234배(23.4%) 초과해 검출됐다.

   * 루지 체험장 1개소는 핸들 그립 보유 수량 부족으로 시료 확보 불가

   ** 루지 카트는 어린이 등이 이용하는 유기기구에 해당하나 브레이크 패드, 핸들 그립 등 부품의 유해물질 관련 안전기준이 없어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에 따른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을 준용함.

루지 체험장

루지 카트

루지 카트 브레이크 패드

루지 카트 핸들 그립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가 이용하는 루지 체험장은「관광진흥법」에 따라 허가를 받을 때와 허가를 받은 후 매년 1회 이상 안전성 검사를 받아야 하는 유기시설·기구*에 해당되나, 부품의 유해물질 관련 안전기준이 없어 이용자 연령, 유해물질 노출 경로 등을 고려한 안전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이용자에게 재미, 즐거움, 스릴을 제공할 목적으로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된 시설·기구

체험 시설 특성을 반영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조사대상 9개소 모두 이용 제한 기준으로 키·연령 등을 고지하고 있으나 업체마다 기준이 제각각이었고, 루지 브레이크 제동력이나 주행로의 경사 각도 등 시설 특성을 반영한 관련 기준이 없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실제로도 루지 체험장 이용 중 카트의 제동 불량, 전복 등으로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 최근 3년6개월(’17.1.∼’20.6.)간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루지 관련 위해사례는 총 15건임.

체육시설업 종류별 특성에 따른 시설 설치 기준과 안전모 구비 의무, 이용자 안전장구 착용 지도 의무 등이 규정*되어 있는「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과 같이「관광진흥법」에도 사고 위험이 높은 유기시설·기구의 특성을 반영한 세부적인 안전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별표 4], 동 시행규칙 [별표 6]

일부 루지 체험장 시설 관리 미흡해

루지 체험장이 전국적으로 확장 추세에 있으나 일부 시설은 관리가 미흡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조사대상 9개소 중 4개소(44.4%)는 이용자가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해야 하는 일일 안전점검 표지판을 확인할 수 없었고, 1개소(11.1%)는 주행로 표면 깨짐·이탈 방지 방호벽 파손 등 관리가 미흡했다. 8개소(88.9%)는 루지 카트 내에 안전 주의사항과 비상 시 연락처를 모두 부착해야하나 안전 주의사항만 부착하고 있었다.

                                                                            [ 루지 체험장 안전시설 관리실태 ]

                                                                                                                  (단위 : 개소, %)

일일 안전점검 표지판 확인불가

루지 카트 내 안내문 미부착
(안전 주의사항과 비상 시 연락처 등)

주행로 표면방호벽 관리미흡
(표면 깨짐방호벽 파손)

4/9(44.4)

8/9(88.9)

1/9(11.1)

루지 카트 완충재 미설치

안전모 관리 미흡
(충격흡수제 손상접착 탈락)

안전모 표시사항* 미흡

2/9(22.2)

2/9(22.2)

6/9(66.7)

   *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에 따른「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의 안전기준」중 ‘어린이용 스포츠 보호용품’,「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안전확인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중 ‘운동용 안전모’의 안전모 표시사항(사용상 주의사항 등)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유해물질이 검출된 루지 카트 부품을 판매·사용한 사업자에게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으며, 해당 사업자는 브레이크 패드의 수거·교체를 완료했고 핸들 그립의 개선을 검토할 예정임을 회신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에는 ▲유기시설ㆍ기구에 대한 유해물질 관련 안전기준 마련, ▲루지 체험장 시설 특성을 반영한 세부 안전기준 마련, ▲루지 체험장에 대한 안전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0-08-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40 신혼부부 및 有자녀 가구, 청년 대상 대출 제도 대폭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8 53
6139 소상공인 등에 대한 규제 차등적용 검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21
6138 상호금융업권 개인사업자대출 자금용도외 유용 사후점검기준 10.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86
6137 8월말 전국 미분양 62,370호, 전월대비 1.2% (762호)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33
6136 커피.생과일주스 전문점 일제 위생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39
6135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이번엔 '다이어트 음료' 검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22
6134 2018 고령자 통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154
6133 암 입원보험금 분쟁 예방을 위한 암보험 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42
6132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을 반영해 실손보험료 인하 유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106
6131 적법하게 생활대책 대상자로 선정됐다면 생활대책용지 공급받아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33
6130 무연고사망자가 남긴 예금, 장례비용으로 사용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44
6129 추석연휴, 가족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탐방명소 5곳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18
6128 추석 명절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1
6127 한국공항공사, 추석 연휴 여객 서비스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4
6126 바실러스 세레우스 기준 초과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44
Board Pagination Prev 1 ...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