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주거복지로드맵2.0」(’20.3.20),「주택 시장 안정 보완대책」(’20.7.10) 등 무주택 실수요자 주거지원 강화의 일환으로,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을 변경하여 ➀주택도시기금 전·월세대출 금리 인하, ➁‘소년소녀가정 및 교통사고 유자녀 전세자금’에 자녀수에 비례한 대출한도 우대조건 신설, ➂공유주택 모태펀드 출자사업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1. 버팀목 전·월세대출 금리인하 및 지원한도 확대 ]

< 1 > 일반 이용자

(일반 버팀목대출) 버팀목 전세대출은 무주택자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시중은행 대비 저리로 이용 가능한 대출로서, 이번 금리를 0.3%p 인하하여 연 1.8~2.4%(우대금리 별도)로 금리가 낮아진다.

전세대출을 1억 원 받는 경우, 지난 5월 버팀목대출 금리인하*로 이자가 연 20만 원 낮아진 것에 더해, 이번 금리인하에 따라 이자 부담이 추가로 연 30만 원 경감된다.

* (’20.5) 일반 버팀목대출 금리 0.2%p 인하 (2.3∼2.9% → 2.1∼2.7%)
** (대상자) ➀연소득 5천만 원(2자녀 이상 6천만 원) ➁순자산 2.88억 원 이하
(대출조건) ➀보증금 3억 원이하 주택 입주 시 ➁최대 1.2억 원(지방 0.8억 원)


(주거안정 월세대출) 월세로 살고 있다면 고려해볼만한 주거안정 월세대출은 소득이 없는 취업준비생 뿐 아니라 주거급여 수급자도 ‘우대형’의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일반형(연 2.5%)과 우대형(연 1.5%)을 운용 중으로, 금리가 0.5%p 인하되어 대출금리가 일반형은 연 2.0%, 우대형은 연 1.0%까지 낮아져 주택도시기금 최저금리를 적용받는다.

예를 들어, 월세 40만 원을 대출받아 1년 거주하는 경우, 일반형은 최대 연 9.6만 원, 우대형은 연 4.8만 원의 이자만 부담하면 된다.

* (대상자) ➀(우대형)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 등 ➁(일반형)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대출조건) ➀보증금 1억 원&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입주 시 ➁최대 월 40만 원


< 2 > 청년

(청년전용 버팀목대출) 사회로 첫발을 내딛는 청년을 위한 전용상품인 청년전용 버팀목대출의 경우, 대상주택을 7천만 원에서 1억 원 이하 주택으로 확대하고, 대출 한도도 5천만 원에서 7천만 원까지 높여, 대학, 직장 등으로 도심 거주 수요가 높은 청년의 주거 선택지가 넓어진다.

대출금리도 연 1.5~2.1%(우대금리 별도)로 0.3%p 낮아져, 금리 1.5%로 7,000만 원 대출 시 매월 8.8만 원의 이자만 부담하면 된다.

* (대상자) ➀연소득 5천만 원 ➁순자산 2.88억 원 이하, ➂만 34세 이하
(대출조건) ➀보증금 1억 원 이하 주택 입주 시 ➁최대 7천만 원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를 위해 별도로 적용하는 대출한도 등도 확대하여, 이제는 7천만 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5천만 원까지, 연 1.2~1.8%(우대금리 별도)의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보증금 있는 월세주택에 거주하는 청년(42.7%, 주거실태조사)이 많은 현실을 반영하여, ’18년 말부터 보증금과 월세를 모두 대출해주는 보증부 월세대출을 운용 중이다.

이번에 보증금과 월세 대출금리가 모두 0.5%p 낮아져, 보증금은 연 1.3%, 월세는 연 1.0%의 주택도시기금 최저금리를 적용받는다.

보증금 3.5천만 원, 월세 40만 원을 각각 대출받아 1년 거주하는 경우, 연간 약 20만 원의 이자부담이 줄어들어, 매월 약 4만 원의 이자로 이용할 수 있다.

* (대상자) ➀연소득 2천만 원 ➁순자산 2.88억 원 이하, ➂만 34세 이하
(대출조건) ➀보증금 5천만 원&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입주 시 ➁최대 보증금 3.5천만 원&월세 40만 원


이번 금리인하는 시행세칙 변경과 은행 전산시스템 개선 등을 거쳐 8월 10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기존 이용자에게도 적용되어 약 32만 명이 혜택을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누리집(www.nhuf.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금e든든 누리집(www.enhuf.molit.go.kr) 또는 수탁은행(우리, 국민, 기업, 농협, 신한)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2.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자금 대출한도 우대조건 신설 ]

취약계층 아동 가구에 대해 아동 성장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주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자금」에 자녀수에 비례한 대출한도 우대조건을 신설하여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자금 대출은 소년소녀가정, 가정위탁아동, 교통사고유자녀가정, 아동복지시설 퇴소자*에게 아동의 보호기간 또는 만 20세까지 전세자금을 무상 지원(보호 종결 후 5년까지 이자(연 1~2%)의 50% 인하)하는 사업이다.

* (선정기준) 무주택세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이하(3인 가구 기준 562만 원, 아동복지시설 퇴소자는 소득기준 미적용)


종전에는 가구원 수에 관계없이 전세자금을 수도권 기준 최대 9천만 원까지 지원하였으나, 앞으로는 보호대상 아동이 2명이면 수도권 기준 최대 1억 2천만 원까지 지원하고, 보호대상 아동이 3명 이상인 경우 아동 수에 따라 2천만 원 씩 추가 지원한다.

이번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자금 대출한도 우대조건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전산시스템 준비를 거쳐 8월 10일부터 진행되는 계약 및 재계약분에 대해 적용할 계획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가구는 거주지역의 주민센터(읍면동사무소) 또는 시・군・구청에, 교통사고 유자녀가정은 교통안전공단에 신청하면 된다. (재계약 대상 가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신청)

이후 해당 시・군・구청장이 지원 적격 여부를 확인하여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지원대상자를 통보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계약안내 등 입주지원 절차*를 진행한다.

* 지원대상자가 지원한도액 범위 내에서 전세주택을 결정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해당 주택소유자와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지원대상자에게 재임대(전세임대주택)


[ 3. 공유주택 모태펀드 출자사업 신설·출자 ]

청년·1인가구가 밀집한 대학가·역세권 등 도심 내에 맞춤형 주거인 공유주택 공급을 지원하는 공유주택 모태펀드에 출자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공유주택 펀드는 도심 내에 공유주택을 운영하거나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중소·벤처기업, 사회적 기업 등에게 초기 사업 자금을 지원하며, 주변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여 공공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2020-08-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0 검찰, 홈플러스 개인정보 불법매매 재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1 96
2329 보험 가입시 서류 및 절차가 대폭 간소화 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1 138
2328 금융회사의 대손인정 대상채권 범위를 확대하여 금융회사가 부실채권을 조기에 상각하도록 유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1 325
2327 그놈 목소리, 정부기관 사칭에서 대출빙자형으로 진화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25
2326 2개 저가항공사의 위탁수하물 약관상 불공정약관 조항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38
2325 해외 인터넷 판매제품 구입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06
2324 식약처, 환자 맞춤형 의료시대 대비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품 개발 지원에 앞장선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98
2323 유통기한 변조 액상차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11
2322 어린이·청소년 약 2명 중 1명(46.3%)은 당류 과다 섭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08
2321 봄철 인플루엔자“유행”예방은“철저한 손씻기”로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01
2320 전기냉난방기, 제습기 등 주요 가전제품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 대폭 상향 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47
2319 2016년 2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93
2318 "음원 가격인상, 소비자만 부담증가"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44
2317 어린이의 올바른 식습관“내게 맡겨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114
2316 라티오(LATTJO) 박쥐망토 전액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98
Board Pagination Prev 1 ...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77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