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신질환 입원환자의 ‘통신·면회’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의료진이 자의적으로 환자의 통신·면회를 제한하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규정이 마련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정신질환 치료시설 입원환자의 취약한 권리보호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 보건복지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 정신질환자란 망상, 환각 등으로 인해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중대하게 제약되는 사람을 말한다.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는 정신건강증진시설(이하 치료시설) 입원 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받고 최적의 치료를 받을 권리를 갖는다. 또 정신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한다.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치료시설에서는 환자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 정서치료, 작업치료 등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환자 보호 또는 치료 목적으로 환자에 대한 ‘통신‧면회 제한’, ‘격리·강박(보호대를 이용한 신체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그러나 입원환자에 대한 ‘격리‧강박’ 조치의 경우 시행조건 및 시간 등 세부 지침이 있는 반면, ‘통신‧면회 제한’은 별도의 지침이 없어 의료진이나 악의적 보호자에 의한 환자의 권리 침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었다.

▪정신병원 입원치료 중 A씨 사망, 유족들은 A씨가 입원하고 있는 동안 병원 측에 5~6차례 면회를 요청했으나, “당신이 의사냐?”라며 번번이 거절당함. 면회를 한번만 했더라면 이런 상황이 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병원 측에 책임 요구
(2019.8. 언론보도)
▪재산을 탐낸 자녀들이 어머니를 정신병원에 강제로 입원시킴. 강제 입원한 모친은 기저귀가 채워진 채 일체의 통신과 면회가 제한. 병원관리 허술함을 틈타 이웃과 통화해 가까스로 퇴원 (2016.4. 언론보도)
 
또 치료시설 입원 시 환자와 보호자의 권리에 대한 안내문인 ‘권리고지’ 양식에 진료기록부에 대한 열람과 사본 청구권을 안내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부당한 처우가 발생했을 때 환자에 대한 구제절차 진행이 어려웠다.
 
치료시설 유형별(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시설관리자의 환자 인권보호를 위한 관리사항’에 법적 의무사항 등도 일부 누락돼 현장에 혼선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또 언론 등에 지속적으로 제기된 치료시설 내 환자 권리침해에도 불구하고 ‘환자 권리보호’가 지방자치단체의 점검항목에 빠져 있었다.

▪최근 5년간(‘15~’19) 국가인권위 정신장애인 관련 결정문을 분석한 결과, 88.2%(202건)은 정신병동에서 발생한 차별‧폭력이 차지, 정신질환자의 권리침해 개선이 시급 (2020.3. 언론보도)
▪경기도 한 정신병원이 병원에서 환자를 의사의 지시 없이 격리했다고 내부고발, 간호사 C씨에 의하면 병원의 묵인 아래 간호사들이 임의로 환자를 격리
(2020.2. 언론보도)
 
□ 이에 국민권익위는 정신질환 입원환자에 대한 ‘격리‧강박’ 지침과 같이 시행조건 및 시간, 기록유지 등 상세절차 등을 담은 ‘면회‧통신 제한’ 규정을 마련하도록 했다.
 
또 치료시설 입원 시 환자와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권리고지’ 양식에 환자 또는 보호자의 진료기록부 열람 및 청구가 법적 권리임을 안내하도록 했다.
 
치료시설별 ‘시설관리자의 환자 인권보호 관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지침 부재로 인한 책임 불명확과 일선 현장에서의 혼선을 방지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치료시설 점검항목에 ‘환자 권리보호’ 분야를 추가해 입원환자의 권리침해 유무에 대한 실체적 관리감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했다.
 
□ 국민권익위 권석원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치료시설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권리 보호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정부 혁신의 일환으로 국민들을 위한 각종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권리보호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힘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0-07-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23 일부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45
9022 화장품 구입, 계약해지·청약철회 관련 피해가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62
9021 기능성화장품에 '아토피' 표현 사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10
9020 소량생산차 등 튜닝규제 추가 완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10
9019 6일부터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납부기한 3개월 추가 유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11
9018 국민권익위, 미숙아등 의료지원비 부모에게 빠짐없이 알리도록 복지부에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43
9017 일부 캠핑의자 및 피크닉매트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38
9016 2020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44
9015 ABC주스 등 음료류에 체지방감소, 해독 등을 표방한 허위.과대광고 판매사이트 175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42
9014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8월 4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35
9013 집중호우 피해 및 복구를 위한 신속한 금융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36
9012 5일부터 부동산소유권이전특조법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44
9011 법인세 중간예납, 홈택스로 쉽고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22
9010 국민권익위, 여학생 바지교복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13
9009 오늘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과태료 부과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3 13
Board Pagination Prev 1 ...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