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여행의 보편화와 외국의 음식을 소개해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향 등으로 다양한 음식을 접할 기회가 늘면서 수입산 향신료가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판매 중인 향신료가공품(분말형태)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점검해 본 결과, 절반 이상의 제품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금속성 이물(쇳가루)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네이버쇼핑 판매순위 상위 후추(8개), 계피(7개), 큐민(5개) 제품

14개 제품(70.0%)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금속성 이물(쇳가루) 검출

최근 분말형태의 식품에 금속성 이물*이 혼입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향신료가공품(분말형태)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 검사한 결과, 14개(70.0%) 제품에서 안전기준(10.0㎎/㎏ 미만)을 최대 18배 초과(최소 16.4㎎/㎏ ~ 최대 180.2㎎/㎏)하는 금속성 이물이 검출됐다.

   * 금속성 이물(쇳가루)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소화기ㆍ간 등의 손상이 우려되고, 인체에 오랜 시간 축적될 경우 면역력 저하 또는 신경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금속성 이물 시험검사 결과 ]


구분

적합

부적합

부적합 비율

후추(8)

4

4

4/8

(50.0%)

계피(7)

2

5

5/7

(71.4%)

큐민(5)

0

5

5/5

(100.0%)

20

6

14

14/20

(70.0%)


이는 원료(향신료의 열매나 씨)를 금속 재질의 분쇄기로 분쇄하는 과정에서 롤밀·칼날 등의 마찰로 금속성 이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말 제품에 금속성 이물이 혼입되지 않게 하려면 충분한 자력의 자석으로 금속성 이물을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자석봉을 세척하여 부착된 분말 등을 제거하는 등 업체의 품질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전 제품, 방사선은 비조사(照射) 처리

향신료는 국내·외에서 살균 목적으로 방사선조사* 처리가 허용되는 품목으로, 조사 처리한 경우「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제품에 조사도안(문구)을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식품 또는 식품원료를 본래 상태에 가깝게 보존하거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전리방사선을 일정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의미함.

   ** 「식품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0-1호)

조사대상 20개 제품을 확인한 결과, 전 제품이 방사선조사 처리를 하지 않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개 중 4개 제품(20.0%)은 품목보고번호, 식품유형, 내용량 등을 일부 기재하지 않거나 잘못 기재해 표시기준에 부적합했다.
 

한국소비자원은 향신료가공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관련 사업자에게 ▲금속성 이물 기준을 초과한 제품의 자발적 회수, ▲제조공정 및 표시 개선을 권고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분말형태의 향신료가공품에 대한 안전 및 표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0-07-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95 ‘인터넷 치유캠프’에서 건강한 이용습관 기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9 50
8194 손씻기·익혀먹기·끓여먹기로 식중독 예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9 50
8193 가뭄지역 특별교부세 124억 긴급 추가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5 50
8192 가뭄지역 소방차 급수지원에 총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5 50
8191 인터넷을 통한 마약류 판매광고, 제조방법 게시 등 처벌?집중단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1 50
8190 금년 6월 22일부터 여권 분실신고 즉시 여권 효력 상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0
8189 급성심부전환자의 예후 대장암보다 나빠, 적극적 관리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9 50
8188 가상통화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3 50
8187 2017 소비자안전 모니터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0
8186 대규모유통업법 과징금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0
8185 금지색소 불법 수입.유통업자 등 검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1 50
8184 정보공개 청구, 이제 스마트폰으로도 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0
8183 ‘라면 제품에 GMO 검출’ 관련 조사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50
8182 리콜제도 소비자 친화적으로 획기적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50
8181 더 알기 쉽고 더 찾기 쉬운 지방재정, 「지방재정365」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9 50
Board Pagination Prev 1 ...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