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5년 간 여름철 국립공원 익사사고 6건 중 3건 해안에서 발생

▷ 구명조끼 착용, 금주, 준비운동, 감염예방 등 물놀이 안전수칙 반드시 지켜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립공원 주요 계곡과 해변을 찾는 탐방객에게 물놀이 안전사고에 대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5년(2015년~2019년)간 여름철(7월~8월) 휴가기간 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사고 6건을 분석한 결과, 해안에서 해루질 등의 불법행위로 인한 익사가 3건(50%)으로 가장 많았다. 


'해루질'이란 물이 빠진 갯벌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주로 밤에 불을 밝혀 불빛을 보고 달려드는 물고기를 잡는 전통 어로 행위다.


그러나 밀물 시 갯벌 중간부터 물이 차오르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야간에 '해루질'을 할 경우 갯벌에 고립되거나 바다안개로 방향을 잃어버려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허용된 구간에서 금주는 물론 사전 준비운동과 기본적인 물놀이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국립공원 내 계곡은 수온이 낮고 깊이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일부 구간의 경우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놀이는 계곡 가장자리 주변에서 해야 한다. 해변(해수욕장)의 경우 조수웅덩이, 이안류, 바다갈림길 등 위험요소와 밀물썰물 시간에 대한 정보도 사전에 확인하고 해루질 등 불법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여름철에는 산악지형에 갑작스러운 폭우나 소나기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상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호우주의보 등의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물놀이를 즉시 중지하고 통제에 적극 따라야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2m 이상 탐방 거리두기와 발열 또는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물놀이를 자제하고, 물놀이 지역 내에서 침·가래 뱉기, 코 풀기 등 체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은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태안해안, 지리산 등 전국 21개 국립공원의 주요 해변과 계곡 등 173곳을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중점관리 대상지역에는 안전사고 취약시간 대인 오후에 순찰 인력이 집중 배치되며 입수통제 그물망, 안전선, 튜브 등 구조장비의 설치를 비롯해 탐방객 통제와 안전수칙 홍보물이 비치된다. 


이승찬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국립공원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해야 한다"라며, "음주 후 물놀이 금지 및 구명조끼와 같은 안전장비 착용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과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칙을 반드시 준수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0-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33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20
2032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20
2031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3.18
203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Natava Super Foods 클로렐라 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3
202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Gamesa 시리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03.18
2028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3.18
2027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2026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2025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ionutra 모링가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10
202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 있는 LA GRANDE EPICERIE DE PARIS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8.25
2023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6.04
2022 산패 가능성 있는 Goldilocks Sweet Delights 쿠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1.06.02
2021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1.21
2020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8
2019 산성 식품 접촉 금지 관련 표시사항 부적합해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Nitori 냄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1.14
2018 산나물과 비슷한 독초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05.11
2017 사회초년생 등 금융 취약계층을 타겟으로 하는 불법금융 사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2.22
2016 사크라스트라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2
2015 사이클로핵세인 함유사실 미표시한 T9000-ELEpure 액상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4.29
2014 사이드윙 보호 기능이 미흡한 Kinderkraft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9.28
Board Pagination Prev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