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5년 간 여름철 국립공원 익사사고 6건 중 3건 해안에서 발생

▷ 구명조끼 착용, 금주, 준비운동, 감염예방 등 물놀이 안전수칙 반드시 지켜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립공원 주요 계곡과 해변을 찾는 탐방객에게 물놀이 안전사고에 대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5년(2015년~2019년)간 여름철(7월~8월) 휴가기간 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사고 6건을 분석한 결과, 해안에서 해루질 등의 불법행위로 인한 익사가 3건(50%)으로 가장 많았다. 


'해루질'이란 물이 빠진 갯벌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주로 밤에 불을 밝혀 불빛을 보고 달려드는 물고기를 잡는 전통 어로 행위다.


그러나 밀물 시 갯벌 중간부터 물이 차오르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야간에 '해루질'을 할 경우 갯벌에 고립되거나 바다안개로 방향을 잃어버려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허용된 구간에서 금주는 물론 사전 준비운동과 기본적인 물놀이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국립공원 내 계곡은 수온이 낮고 깊이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일부 구간의 경우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놀이는 계곡 가장자리 주변에서 해야 한다. 해변(해수욕장)의 경우 조수웅덩이, 이안류, 바다갈림길 등 위험요소와 밀물썰물 시간에 대한 정보도 사전에 확인하고 해루질 등 불법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여름철에는 산악지형에 갑작스러운 폭우나 소나기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상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호우주의보 등의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물놀이를 즉시 중지하고 통제에 적극 따라야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2m 이상 탐방 거리두기와 발열 또는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물놀이를 자제하고, 물놀이 지역 내에서 침·가래 뱉기, 코 풀기 등 체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은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태안해안, 지리산 등 전국 21개 국립공원의 주요 해변과 계곡 등 173곳을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중점관리 대상지역에는 안전사고 취약시간 대인 오후에 순찰 인력이 집중 배치되며 입수통제 그물망, 안전선, 튜브 등 구조장비의 설치를 비롯해 탐방객 통제와 안전수칙 홍보물이 비치된다. 


이승찬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국립공원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해야 한다"라며, "음주 후 물놀이 금지 및 구명조끼와 같은 안전장비 착용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과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칙을 반드시 준수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0-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51 "고혈압약 복용시 이런 것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5.03
2050 화창한 5월, 놀이시설·농기계·등산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4.30
2049 하절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예방ㆍ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1.04.30
2048 A형간염 환자 증가로 예방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1.04.29
204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04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4.28
204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4.28
2044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1.04.28
2043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및 질식 위험 있는 Wuleeup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04.28
2042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Quaker 쌀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1.04.28
2041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4.28
2040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1.04.28
2039 기준치 초과한 카드뮴이 함유된 어린이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1.04.28
2038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몬테소리 유아용 교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4.28
2037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4.23
2036 일렉트로포스社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4.22
2035 종합마트 GJ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4.22
2034 바다의 보랏빛 보물 '군소(바다달팽이)'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1.04.21
2033 머위, 취나물 등 총 4건 잔류농약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4.21
2032 종신보험 갈아타기(종신보험 리모델링)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4.21
Board Pagination Prev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