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익수(물에 빠짐)사고는 여름(47.3%)에 주로 발생, 특히 7(6월 대비 2.5)에 급증

      - 발생 9세 이하의 소아(29.4%)에서 많고,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

     - 더운 시간대(12-18, 53.9%)집중적으로 발생

질병관리본부, 물놀이 사고예방 및 감염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 물놀이 안전수칙, 응급처치,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익수(물에 빠짐)사고**로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자해·자살 등 의도성 익수를 제외한 비의도성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익수사고 환자는 673명으로 남자가 474명(70.4%), 여자가 199명(29.6%)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4배 정도 많았다.

   - (연령별) 사고는  9세 이하의 소아(198명, 29.4%)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시기별) 여름(6-8월, 47.3%)에 사고가 많고, 특히 7월에 2.5배로 급증하였다. 주중보다는 주말에 발생 빈도가 높고, 오후(12-18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활동별) 여가활동(47.8%)과 일상생활(27.6%) 중에 주로 발생하였다.

   - (장소별) 바다와 강을 포함하는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하였고, 그 외 목욕시설*(10.4%), 수영장 시설**(10.3%), 집***(7.4%)에서도 다수 발생하였다.

   * 목욕시설 : 사우나 시설 내 목욕탕, 온천, 스파 등
   ** 수영장 시설 : 공공수영장, 상업시설 내 수영장 등
   *** 집 : 욕조 등

   - (응급실 진료 후 결과) 응급실 내원 후 귀가(29.4%)보다는 입원(53.8%)하는 경우가 1.8배 많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물놀이 사고가 잦은 여름철을 맞아 어린이 대상 물놀이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간다.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한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을 적신다.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을 씹지 않는다.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는 곳,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는다.

계곡이나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장치가 있는 샌들을 신는다.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는다.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른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자녀와 함께 물에 들어가세요.

* 자칫 심각한 위험에 빠지거나 물놀이 중 마주칠 수 있는 위험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

물 근처에 자녀를 혼자 두거나 형제끼리 남겨두고 자리를 비우지 마세요.

물놀이 할 때는 아이 몸무게에 맞는 안전인증 받은 구명조끼를 입혀주세요.

물속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세요.

식사 전,후에는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지도하세요.

너무 오랫동안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물놀이 30분 후에는 반드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만약 물에 빠진 어린이를 구조했을 때, 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젖은 옷을 벗기고 아이의 몸에 담요 등을 덮어 체온을 유지하고, 옆으로 눕힌 후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며,

   - ② 만약 의식이 없는 경우는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고 구급차를 기다리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므로 물가나 야외에 나갔을 때 아이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 평소 물놀이를 하기 전에 충분히 안전수칙을 숙지하도록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수칙 및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 두기와 관련된 소식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의 카드뉴스 및 홍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20-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1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및 백신 접종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3.09
4190 4차 추경 지원금 문자안내 관련 결제사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0.09.25
4189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7 2017.05.29
4188 5300만명 대상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8.04.16
4187 5월 가정의 달 나들이,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5.02
4186 5월 가정의 달 맞아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7 2019.05.02
4185 5월 가정의 달 맞아,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4.29
4184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5.07
4183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5.14
4182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05.31
4181 7~8월 폭염기간 전기화재, 벌 쏘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7.07.06
4180 7월, 질식사고 발생 가능성 최고조로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4179 7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7.06.30
4178 8월, 폭염ㆍ물놀이ㆍ태풍ㆍ호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7.29
4177 8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7.25
4176 900미터 이상 깊이에서 압력을 조정하지 않는 다이브 컴퓨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6.07
4175 90년대생 청년층, 대출수수료 30% 사기 작업대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7.15
4174 9월 한낮엔 여름,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9.04
4173 9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5 2017.09.04
4172 9월에는 태풍과 농기계 사고에 특별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0.08.2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