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익수(물에 빠짐)사고는 여름(47.3%)에 주로 발생, 특히 7(6월 대비 2.5)에 급증

      - 발생 9세 이하의 소아(29.4%)에서 많고,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

     - 더운 시간대(12-18, 53.9%)집중적으로 발생

질병관리본부, 물놀이 사고예방 및 감염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 물놀이 안전수칙, 응급처치,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익수(물에 빠짐)사고**로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자해·자살 등 의도성 익수를 제외한 비의도성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익수사고 환자는 673명으로 남자가 474명(70.4%), 여자가 199명(29.6%)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4배 정도 많았다.

   - (연령별) 사고는  9세 이하의 소아(198명, 29.4%)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시기별) 여름(6-8월, 47.3%)에 사고가 많고, 특히 7월에 2.5배로 급증하였다. 주중보다는 주말에 발생 빈도가 높고, 오후(12-18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활동별) 여가활동(47.8%)과 일상생활(27.6%) 중에 주로 발생하였다.

   - (장소별) 바다와 강을 포함하는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하였고, 그 외 목욕시설*(10.4%), 수영장 시설**(10.3%), 집***(7.4%)에서도 다수 발생하였다.

   * 목욕시설 : 사우나 시설 내 목욕탕, 온천, 스파 등
   ** 수영장 시설 : 공공수영장, 상업시설 내 수영장 등
   *** 집 : 욕조 등

   - (응급실 진료 후 결과) 응급실 내원 후 귀가(29.4%)보다는 입원(53.8%)하는 경우가 1.8배 많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물놀이 사고가 잦은 여름철을 맞아 어린이 대상 물놀이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간다.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한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을 적신다.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을 씹지 않는다.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는 곳,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는다.

계곡이나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장치가 있는 샌들을 신는다.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는다.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른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자녀와 함께 물에 들어가세요.

* 자칫 심각한 위험에 빠지거나 물놀이 중 마주칠 수 있는 위험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

물 근처에 자녀를 혼자 두거나 형제끼리 남겨두고 자리를 비우지 마세요.

물놀이 할 때는 아이 몸무게에 맞는 안전인증 받은 구명조끼를 입혀주세요.

물속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세요.

식사 전,후에는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지도하세요.

너무 오랫동안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물놀이 30분 후에는 반드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만약 물에 빠진 어린이를 구조했을 때, 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젖은 옷을 벗기고 아이의 몸에 담요 등을 덮어 체온을 유지하고, 옆으로 눕힌 후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며,

   - ② 만약 의식이 없는 경우는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고 구급차를 기다리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므로 물가나 야외에 나갔을 때 아이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 평소 물놀이를 하기 전에 충분히 안전수칙을 숙지하도록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수칙 및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 두기와 관련된 소식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의 카드뉴스 및 홍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20-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53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계 건강 위험있는 피규어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2652 전자몰 / JEONJA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11.11
2651 온라인쇼핑몰 미앤아이푸드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4.05.03
2650 드론으로 독성 해파리 쏘임 피해 예방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18.08.17
2649 우리 동네 교통사고 줄이는 교통안전시설 대폭 확충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18.09.20
2648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New face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0.04.13
264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5.03
2646 스마트폰 쇼핑몰 에이스 모바일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5.18
2645 “휴가철 렌터카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7.26
2644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11.29
2643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다나카식품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11.30
2642 어린이보호포장 요건 준수하지 않은 The Real Milk Paint 페인트 희석제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2.09.28
2641 스투시(STUSSY)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3.11.28
2640 여름 휴가철, 바닷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8.04
2639 지퍼에 별도 보호 장치가 없어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빈백의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8.24
2638 명절 대비 건강제품, 온라인 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9.24
2637 겨울철 굴, 복어, 과메기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12.14
2636 나도 공황장애? 약 복용할 때 이런 점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12.21
2635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Lake Champlain Chocolates 초콜릿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3.18
2634 봄철 패류독소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3.15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