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정부기관 주도로 역학조사, 건강모니터링 등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조사ㆍ연구를 추진토록 규정하고 그 결과를 공개

▷ 다양한 건강피해를 구제할 수 있도록 조사판정체계 개편

▷ 장해급여를 새롭게 지급하고 특별유족조위금, 요양생활수당 등 기존 구제급여 항목의 지원 확대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2020년 3월 24일 개정ㆍ공포, 2020년 9월 25일 시행 예정)' 하위법령 개정안을 7월 3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조사ㆍ연구 방법, 장해급여 지급기준 등 개정법에서 위임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한편, 특별유족조위금 상향 등 피해자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손해배상소송에서 인과관계 추정요건 중 하나인 가습기살균제 노출과 질환 간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연구 주체 및 연구내용 등 구체적 사항을 규정했다.

* 역학적 상관관계 :  위험인자에 노출된 집단에서 질환에 걸린 비율이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서 걸린 비율을 초과한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밝힌 것


개정법에 따르면 ①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후 ② 질환이 발생·악화되고 ③ 노출과 질환 발생 간에 역학적 상관관계가 확인된 경우 등 3가지 요건을 입증하면 인과관계가 추정되고,


기업이 피해자의 노출 시기 및 정도, 생활습관, 가족력 등을 파악하여 가습기살균제 피해가 아니라는 것을 반증해야 한다.


다만, 피해자들이 역학적 상관관계를 입증하기 힘든 점을 고려하여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조사·연구 주체, 내용 등을 대통령령으로 규정했다.


즉,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역학조사, 건강모니터링, 독성연구 등의 조사·연구를 추진토록 하고, 환경부 장관은 조사ㆍ연구 결과를 공개하도록 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인정범위를 확대하는 법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조사판정체계도 개편할 예정이다. 


역학 또는 독성 등의 연구에서 과학적 근거가 확인된 건강피해는 노출 여부, 질환 진단 사실 등을 검토하여 요건을 충족할 경우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위원회에서 신속히 피해자로 의결한다.


요건심사 결과 건강피해로 인정되지 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위원회에서 개인별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되어 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피해자로 인정한다.


조사판정체계 개편과 더불어 구제급여 지급 확대를 통해 피해자 지원도 강화한다. 


첫째,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로 사망한 피해자의 유족에게 지급하는 특별유족조위금을 약 4,000만 원에서 약 7,000만 원으로 상향한다.


기존법에 따라 특별유족조위금을 전액 수령한 경우에도 3,000만 원에 가까운 조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둘째, 경미한 피해등급을 신설하여 요양생활수당 지급범위를 확대한다.


경미한 피해에 해당하는 폐기능이 정상인의 70%이상 80%미만인 피해자들에게는 매월 약 12만 6천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요양생활수당 지원기준(안) />  검사방법  피해등급  지원기준  지급급액  비고  고도피해  폐기능이 정상인의 35% 이상∼45% 미만  102.3만원/월    중등도피해  폐기능이 정상인의 45% 이상∼55% 미만  68.2만원/월    경도피해  폐기능이 정상인의 55% 이상∼70% 미만  34.1만원/월    경미한피해  폐기능이 정상인의 70% 이상∼80% 미만  12.6만원/월  신    설
 

셋째, 고도피해와 중등도피해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구급차를 이용할 경우, 그 비용을 지원토록 했다.

※ 응급의료법 제2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1조에 따른 금액을 지원


마지막으로 피해지원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피해자에게는 남은 장해정도에 따라 장해급여를 일시금으로 지급하도록 했다.


노동능력 상실정도에 따라 장해등급을 4단계로 구분하여 초고도장해는 약 1억 4,400만 원, 고도장해는 약 8,600만 원, 중등도장해는 약 5,700만 원, 경도장해는 약 2,900만 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장해급여 지급기준(안) />  장해  등급  장해 내용  노동력  상실률  (%)  지급금액  초고도  장해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질환으로 현저한 장해가 남아 종신토록 노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자  100%  약 14,400만원  고도  장해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질환으로 장해가 남아 생명 유지에 필요한 일상생활의 처리동작은 가능하나 경미한 노무 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자  60%  약 8,600만원  중등도  장해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질환으로 장해가 남아 취업 가능한 직종의 범위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자  40%  약 5,700만원  경도  장해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질환으로 장해가 남은 자  20%  약 2,900만원
 

환경부는 코로나 사태로 피해자 간담회를 개최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가습기살균제피해지원종합포털(www.healthrelief.or.kr) 및 환경부 누리집(www.me.go.kr)에 이번 개정안의 상세 내용을 올리고 이해관계자, 국민 등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하미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이번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하위법령 개정안의 입법예고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0-07-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60 개발부담금 부과 후 납부한 학교용지부담금 등 개발비용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5
8959 아파트 지하주차장 높이 2.7m 이상으로 상향…택배대란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5
8958 금융꿀팁 200선-89 자동차보험 관련 판례 및 분쟁조정 사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5
8957 2018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8 25
8956 금융꿀팁 200선 - 외국환거래법규 유의사항(해외직접투자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25
8955 퇴직 후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문턱 낮아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25
8954 2018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3 25
8953 고속도로 전광판·내비게이션에 긴급차량 출동정보 실시간 뜬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9 25
8952 질병관리본부, 2017년 전국 어린이 예방접종률 현황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4 25
8951 폭염도 위반자도 꼼짝마라! 암행어사 나가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1 25
8950 따뜻하고, 스마트한 차세대 복지정보 시스템 구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2 25
8949 의료기기, 판매가격 확인하고 현명하게 구매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25
8948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대한 처분기준 정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25
8947 재난안전 문제해결! 국민 아이디어 듣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5
8946 정책실명제 사업, 국민이 직접 신청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2 25
Board Pagination Prev 1 ...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