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출이 잦아지는 여름을 대비해 집에서 간편하게 부위별 각질을 관리할 수 있는 각질제거제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사용법을 지키지 않거나 상처, 피부질환 등이 있는 부위에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주된 위해유형은 피부 부작용이나 안구 손상

최근 5년간(’15년~’19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각질제거제 관련 위해정보는 총 92건으로, 매년 20건 내외가 접수됐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위해정보 현황 : (’15년) 19건 → (’16년) 13건 → (’17년) 19건 → (’18년) 23건 → (’19년) 18건

성별은 ‘여성’이 전체의 81.5%(75건)로 ‘남성’ 18.5%(17건)에 비해 훨씬 많았다. 신체부위별로는 ‘안구·눈 주변’ 31.5%(29건), ‘얼굴 부위’ 25.0%(23건), ‘발’ 15.2%(14건) 순으로 위해 발생 빈도가 높았다.

위해유형별로는 ‘사용 후 피부 부작용 발생’이 57.6%(53건)로 주로 피부·피하조직 손상, 피부염, 발진 등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며, 통증·물집 등 화학 화상이나 연조직염 증상을 호소한 사례도 있었다. ‘사용 중 안구에 각질제거제가 유입’되어 찰과상 등 안구 손상이 발생한 사례도 31.5%(29건)에 달했다.


[ 위해부위·유형별 현황 ]

※ 기타: 목, 어깨, 해당 없음 등 포함※ 기타: 목, 어깨, 해당 없음 등 포함※ 기타: 목, 어깨, 해당 없음 등 포함※ 기타: 목, 어깨, 해당 없음 등 포함※ 기타: 용기 파손, 냄새, 이물질 혼입 등 포함

온라인 광고 내 소비자 오인 표현이 많아

시중에 판매 중인 각질제거제 15종의 표시·광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15종 모두 「화장품법」에 따른 기재사항을 제품에 제대로 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이 온라인 광고에서 소비자가 의학적 효능이 있거나 부작용이 전혀 없는 제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중 2개 제품은 ‘피부 정상화’, ‘피부 복원에 도움’ 등의 표현을 사용해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의학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소비자가 오인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11개 제품이 ‘가장 안전’, ‘문제NO’ 등의 표현으로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처럼 인식하게 하거나, 심하게 갈라진 각질 사진 등을 사용해 과각화증, 무좀과 같은 피부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오인케 할 우려가 있었다.

아울러 14개의 제품이 ‘자극 없이’, ‘피부 수분 증가’ 등의 실증 대상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 중 8개 제품의 사업자는 관련 실증 자료를 제시하지 못했다.

   * 표시·광고 중 사실과 관련한 사항에 대해 관련 시험·조사결과 등으로 실증할 수 있어야 함.

제품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각질제거제는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문질러 사용하므로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특정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이 유발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진물, 화학화상이 생기거나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으로 모낭염, 봉소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 상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각질제거제 사용 시 ▲민감성 피부이거나 피부가 약해진 경우에는 적은 양을 시험 적용해볼 것, ▲피부질환 등이 있는 부위에 사용을 자제할 것, ▲반드시 제품의 사용법(적용방법, 시간, 주기 등)을 준수할 것,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얼굴의 T-존(코와 이마) 부위부터 조심스럽게 사용할 것, ▲고농도의 각질제거 성분이 들어있는 제품은 주의하여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해당 사업자에게 조사 결과에 따른 자율 시정을 권고하고, 관련 부처에 각질제거제의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0-06-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19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및 백신 접종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3.09
4218 4차 추경 지원금 문자안내 관련 결제사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9.25
4217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5.29
4216 5300만명 대상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8.04.16
4215 5월 가정의 달 나들이,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5.02
4214 5월 가정의 달 맞아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7 2019.05.02
4213 5월 가정의 달 맞아,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4.29
4212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5.07
4211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5.14
4210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8.05.31
4209 7~8월 폭염기간 전기화재, 벌 쏘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8 2017.07.06
4208 7월, 질식사고 발생 가능성 최고조로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08
4207 7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7.06.30
4206 8월, 폭염ㆍ물놀이ㆍ태풍ㆍ호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7.29
4205 8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7.25
4204 900미터 이상 깊이에서 압력을 조정하지 않는 다이브 컴퓨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07
4203 90년대생 청년층, 대출수수료 30% 사기 작업대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7.15
4202 9월 한낮엔 여름,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9.09.04
4201 9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9.04
4200 9월에는 태풍과 농기계 사고에 특별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0.08.2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