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제주시 및 안산시 소재 유치원 등에서 장출혈성대장균으로 인한 집단 설사 환자 발생
◇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안전한 음식 섭취, 조리 위생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장출혈성대장균 집단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소재 유치원에서 6월 18일 장출혈성대장균감염병 환자가 확인된 후 현재까지 12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 이 유치원은 등원을 중지하고, 유증상자 79명을 포함한 재원 중인 모든 원아, 교사, 조리종사자에 대한 진단검사와 환경 및 보존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확진자의 가족들에 대해서도 역학조사를 시행하는 등 감염 경로를 파악 중에 있다.

 ○ 한편 제주시 소재 어린이집에서도 5월 중순부터 6월 10일까지 총 8명의 환자가(6명의 원아, 2명의 확진 원아 가족) 보고된 바 있다.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제대로 익히지 않은 소고기나 오염된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해 감염되며,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가 동반되고, 설사는 수양성에서 혈성 설사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 증상은 5~7일 이내 대체로 호전되지만 용혈성요독증후군 등 합병증이 나타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소고기는 충분히 익혀 먹는 등 안전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아울러,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시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증가에 대비하여  전국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와 함께 하절기 비상방역 근무 체계 (5.1.~10.4.)를 운영하여 질병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 금년에는 24주차 (’20.1.1~6.13) 기준 78건의 집단발생이 보고되어, 전년도 동기간 대비 75% 감소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고, 조리 위생 수칙을 준수하며 올바르고 철저한 손 씻기 등 예방 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예방수칙>


 ○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 한다

  - 흐르는 물에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
  - 외출 후, 화장실을 다녀온 뒤, 조리 전,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유아를 돌본 뒤, 더러운 옷이나 리넨을 취급 후 등

○ 안전한 음식 섭취

  ◇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 비살균 우유, 날 육류 등은 피하고, 소고기는 중심 온도가 72도 이상으로 익혀 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칼·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기
 - 조리도구(채소용, 고기용, 생선용)는 구분하여 사용하기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음식을 조리 및 준비 금지

○ 강, 호수 수영장에서 수영할 때, 강물, 호수 물, 수영장물 마시지 않기

 


[ 보건복지부 2020-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93 소규모 수도시설 이용할 때 노로바이러스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3.12.21
4292 사용 중 패드가 분리되는 SwissStop 자전거 브레이크 패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1.04
4291 W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1.08
4290 화재 발생 위험 있는 Harley Wei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1.08
4289 26일부터 2차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2.16
4288 부품에 고압 전류가 흘러 감전 위험이 있는 마그네틱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2.29
4287 봄 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04
4286 설레는 봄 산행,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04
4285 해외 화장품 직접 구매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84 감전 위험 있는 전동 외발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83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 APGAR 점 제거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82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아동용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81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Patak's 가지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6
4280 불법 채권추심관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1.15
4279 “일산화탄소 경보기 준비하고 환기구 확보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1.15
4278 어린이 끼임 우려 있는 Ezsy Run GTS2 러닝머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2.18
4277 앞바퀴 스포크에 뒤틀려 낙상 위험 있는 Vaude 자전거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1.05
4276 봄철 불청객, 졸음운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05
4275 “유명인·가족 등 사칭, 절대 돈 보내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1
4274 구독형 도시락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