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 결과>

1. 인구

○ 2019년 총인구는 5,171만 명이며, 2028년에 5,19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19년 합계출산율은 전년보다 0.06명 감소한 0.92명임
○ 2019년 수도권 인구는 2,584만 4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함

2. 가구·가족

○ 2018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000년 대비 0.68명 감소한 2.44명임
○ 2019년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7.2% 감소한 23만 9천 건임
○ 2018년 첫 자녀를 출산한 모(母)의 평균 연령은 31.9세이며, 초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출산 연령도 높아지는 추세임

3. 건강

○ 2018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년, 건강수명은 64.4년임
○ 2018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이며, 특히, 폐렴 사망률은 2005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냄
   * 폐렴 사망률 변화: (2005)8.6명 → (2010)14.9명 → (2015)28.9명 → (2018)45.4명
○ 2018년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유산소 신체활동실천율은 44.9%, 비만 유병률은 35.0%임
○ 2018년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39명, 간호사 수는 7.65명으로 2000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OECD 주요 국가와 비교할 때 여전히 적은 편임

4. 교육·훈련

○ 2019년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4.6명으로 2000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함
○ 2019년 학생 4명 중 3명이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32만 1천 원의 사교육비를 지출함
○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전년보다 1.5%p 상승한 67.7%로 의약계열의 취업률이 가장 높고, 인문계열의 취업률이 가장 낮음

5. 노동·여가

○ 2019년 고용률은 60.9%로 전년보다 0.2%p 상승, 실업률은 3.8%로 전년과 동일함
○ 2019년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임금근로자 35.9시간, 비임금근로자 46.8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0.7시간, 0.3시간 감소함
○ 2019년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5시간, 휴일 5.4시간임
○ 2019년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평일: 53.1%, 휴일: 65.1%)과 여가비용(49.7%)에 대한 충족도는 전년 대비 상승하였으나, 여가시설 (43.6%)에 대한 충족도는 하락함

6. 소득·소비·자산

○ 2019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4% 상승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은 ’6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
○ 2019년 가구 평균 순자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3억 5,281만 원임
○ 2019년 19세 이상 성인의 소득 만족도는 14.1%, 소비생활 만족도는 16.8%로, 2017년과 비교하여 각각 0.8%p, 1.4%p 증가함

7, 주거

○ 2019년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전년 5.5배보다 소폭 감소한 5.4배로, 2017년 이후 감소 추세임
○ 2019년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6.1%로 전년보다 0.6%p 증가하였으며, 2014년 이후 계속 감소하다
     5년 만에 증가세를 보임
○ 2019년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은 전년보다 0.4%p 감소한 5.3%로, 2017년 이후 감소세를 보임

8. 생활환경

○ 2018년 우리나라 대기 중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41㎍/㎥, 23㎍/㎥로 ‘보통’ 수준을 유지함
○ 2018년 낮 시간대 소음 환경기준치를 초과한 도시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이며, 밤 시간대의 경우 대전을 제외한 5개 도시 모두 기준치를 초과함
○ 2018년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10.1㎡로 전년보다 0.5㎡ 늘어남

9. 범죄·안전

○ 2018년 자연재해로 인한 사망·실종자 수는 53명이며, 이 중 폭염으로 인한 온열 질환 사망자가 48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 2018년 도로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7.3명으로 전년보다 0.8명 감소하였으며, ’0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임
○ 2018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전년보다 185건 감소한 3,368건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24.5% 감소함
○ 2018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63.5%)은 야간 보행이 안전하다고 생각함

10. 사회통합·주관적웰빙

○ 2019년 우리나라 국민이 신뢰하는 정부기관은 군대(48.0%), 지방자치단체(44.9%), 중앙정부(38.4%), 법원(36.8%), 경찰(36.5%), 검찰(32.2%), 국회(19.7%) 순임
○ 2019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20.5%)은 외로움을 느낌
○ 2019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3.0%p 감소한 60.7%임



[ 통계청 2020-06-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39 식약처, 이물 검출 의약품 판매중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25
8938 여가부, 청소년 ‘몸캠피싱’피해보호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5 25
8937 FTA 관세인하에도 고가 수입맥주 소비자가격 변동 미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5 25
8936 수입식품 통관검사, 안전은 올리고 규제는 낮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6 25
8935 태극문양, 위변조 방지 홀로그램…마음에 드는 번호판 디자인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9 25
8934 식약처,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2호 대상' 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2 25
8933 경찰청, 진술녹음제도 ‘확대 시범운영’ 실시, 투명한 수사로 ‘인권보호’의 새 지평 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5
8932 국민연금, 기금의 재정안정성 확보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25
8931 식품 수거증, 문자메시지로 확인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0 25
8930 중도상환수수료 면제시점 안내 등 대고객 정보제공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25
8929 민자고속도로 공공성 높일 「유료도로법」 17일 본격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6 25
8928 ‘좋아요 도로 위 일등석’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25
8927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등록변경사항 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5
8926 인터넷 몰라도 여권만료일·연금 등 주민센터에서 확인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25
8925 액화석유가스법 등 미세먼지 관련 3법 개정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25
Board Pagination Prev 1 ...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