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홍보관 등을 이용해 건강용품 등을 판매한 불법 방문판매업체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적으로 발생하면서 홍보관 상술*에 대한 적색경보가 켜졌다. 특히, 확진자 대부분이 60대 이상 고령자로 나타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돼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는 소비자 피해예방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 사업자가 공짜 물품, 무료 공연 등으로 소비자를 유인하여 물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상술

방문판매를 포함한 직접판매 분야는 집합 교육, 홍보관 운영 등 대면접촉을 주된 영업 수단으로 하므로 감염병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 특히, 불법 방문판매업체의 경우, ‘떴다방’ 등을 통해 단기간에 고객을 유인한 후 잠적하므로 감염 경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환자를 양산하고 소비자 보호에도 취약하다.

최근 3년간(’17년~’19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홍보관 상술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4,963건이었으며, 이 중 한국소비자원에 피해구제를 신청한 사례는 총 330건으로 매년 소비자 피해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방문판매 업체가 운영하는 홍보관에 방문하는 것은 경제적 피해 우려와 더불어 검증되지 않은 제품으로 인한 건강 문제도 생길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홍보관 상술 피해소비자 중 25.1%가 60대 이상 고령자

최근 3년간 신청된 홍보관 상술 관련 피해구제 사건 중 신청인 연령이 확인된 327건을 분석한 결과, 30대가 27.8%(9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60대 이상 고령 소비자가 25.1%(82건)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                          

                                                                                                                                                                                                                (단위 : 건, %)

구분

20대 이하

30

40

50

60대 이상

건수(비율)

54(16.5)

91(27.8)

55(16.8)

45(13.8)

82(25.1)

327(100.0)


사업자 주소지가 명확하지 않아 계약해지 어려워

피해구제가 신청된 330건의 피해유형을 분석한 결과, 홍보관에서 충동적으로 체결한 계약을 해지하고 대금환급을 요구했으나 사업자가 거절하는 등의 ‘계약해지’ 관련 사례가 44.8%(148건)로 가장 많았고, ‘계약불이행’ 15.5%(51건), ‘부당행위’ 12.4%(41건) 순이었다. 홍보관 상술의 경우 사업장을 단기 대여하여 물건을 판매하고 잠적해 주소지가 명확하지 않거나, 주소지를 계약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계약해지 시 어려움이 있다.                                        

                                                                                                   [피해유형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

                                                                                                                                      (단위 : 건, %)

구분

계약

해지관련

계약 불이행

부당

행위

청약

철회

품질

기타

건수(비율)

148(44.8)

51(15.5)

41(12.4)

27(8.2)

27(8.2)

36(10.9)

330

(100.0)


상조서비스 관련 피해가 가장 많아

최근 3년간 홍보관 상술로 피해가 가장 많았던 품목은 상조서비스(60건)로 나타났으며, 이어 투자서비스(44건), 이동통신서비스(43건) 순이었다. 과거 건강식품에 국한되었던 피해품목이 최근 다양한 서비스까지 확대돼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상위 피해 다발품목]

                                                                                                                                                                            (단위 : 건)

품목

건수

품목

건수

1

상조서비스

60

5

여행

16

2

투자서비스

44

6

화장품

12

3

이동통신서비스

43

7

공조.냉난방기기

11

4

건강식품 및 의료용구

22

8

회원권

10


홍보관 방문을 통한 제품 구입은 가급적 자제할 필요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홍보관 상술의 경우 단기간에 고객을 유인한 후 잠적하므로 소비자에게 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감염 경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어 환자를 양산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어르신,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소비자들에게 밀폐된 장소에서 밀접하게 접촉이 이루어지는 시설의 방문을 가급적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불가피하게 홍보관을 통해 제품을 구입할 경우에는 ▲계약 체결 시 약정내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 ▲해지를 원할 경우「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14일 이내 청약철회가 가능하므로 사업자에게 내용증명 우편으로 통보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6-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1 버클 결함 있는 Cosatto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4.29
2710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Silicone Koala Rattle Collection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29
2709 CMIT/MIT 함유한 헤어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29
2708 사용 중 호스 분리 위험 있는 WORX 압력세척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9
2707 브레이크 레버 이상으로 부상 위험있는 STIHL 전기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2.04.29
2706 부품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29
2705 부품 파손으로 사용자 부상 위험 있는 Edelrid 등반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4.29
2704 사이클로핵세인 함유사실 미표시한 T9000-ELEpure 액상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4.29
2703 파손 우려 있는 Karrimor 숄더 파우치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2.04.29
2702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4.29
2701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4.28
2700 예방접종주간을 맞아 코로나19 백신 접종 참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2.04.28
2699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2698 면세 SHOPPING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8
2697 제이엔유샾 / JNUSHOP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4.27
2696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증가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2.04.26
2695 조각투자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0
2694 "가정 내 작업공구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2.04.19
2693 특정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사기의심 사이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2.04.18
2692 본격적인 영농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14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