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지방세 체납, 통신 요금 연체 정보 활용해 위기가구 발굴·지원한다
- 사회보장급여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6.3∼7.13)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약칭 ‘사회보장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6.3~7.13)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위기가구 발굴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개정된 「사회보장급여법」에서 위임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하기 위한 것이다.


                                                         < 사회보장급여법 주요 개정내용(’20.4.7일) 및 시행령 위임사항 >

사회보장급여법주요 개정내용

시행령 위임사항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지자체 의무협조기관에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 등을 추가

위임사항 없음.

복지사각지대 발굴조사에 보장기관(지방자치단체)이 보유하고 있는 행정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 마련

보장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행정정보를 구체화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에 임대료·관리비 체납정보, 통신요금 연체정보, 건강보험료 정보 등 추가 연계

시스템에 추가 연계할 통신요금 연체정보의 세부기준을 마련

·도 사회보장위원회 경비지원 근거 마련

위임사항 없음.


입법예고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발굴조사 시 보장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 규정(안 제7조)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 중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관할 지역 주민의 주민등록정보와 지방세 체납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자료를 활용해 가구 구성이나 경제적 상황 등을 파악함으로써 위기가구 발굴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건의*했던 사항을 바탕으로 제도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 서울시, 부산시, 인천시, 경기도 등 : 독거어르신 파악, 지방세 체납처분을 위한 조사 과정에서 발굴된 경제적 위기가구 지원 등 필요성 제기

② 통신연금 연체정보 세부기준 마련(안 제8조)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변수에 ‘통신요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를 추가한다.

통신요금 연체정보를 통해 경제적 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정 ‘사회보장급여법’에서 해당 정보를 추가 연계하되 시행령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③ 발굴시스템 정보 연계 확대(별표2)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의 위기가구 발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주민등록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현행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은 각종 변수들을 개인단위로 수집하고 있어, 가구 구성원별 위기변수를 모두 고려한 가구 전체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 예시) ‘A’ 가구가 가구원a, b, c로 구성되어 있고, 가구원별 위기정보가 a 단전,b 신용카드 미결제금액, c 통신요금 연체일 경우

⇒ A가구 위기정보(주민등록전산정보 활용) : 단전 + 신용카드 미결제금액 + 통신요금 연체

보건복지부 김혜래 급여기준과장은 “입법예고 기간 중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20년 7월 13일까지 보건복지부 급여기준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 → 정보 → 법령 → “입법·행정예고 전자공청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견 제출방법(우편)>

  • 제출처
    • 주소 :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6층, 보건복지부 급여기준과
    • FAX : (044) 202 - 3953
  • 기재사항
    •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반 여부와 그 의견)
    • 성명(법인 또는 기타 단체인 경우에는 그 명칭과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 기타 참고사항 등

※ 통합입법예고시스템(http://opinion.lawmaking.go.kr)을 통하여서도 의견 제출 가능




[ 보건복지부 2020-06-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95 금융사기 피해자 분석결과 및 대응방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79
8794 금융사기자금 인출, 끝까지 차단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9 96
8793 금융상품 “비교에서 관리까지” - 「파인」에서 거래단계별 핵심정보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20
8792 금융상품 방문판매의 건전한 활성화와 소비자보호 강화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7 14
8791 금융상품 비교공시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8
8790 금융상품 비교공시 활성화 방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18
8789 금융상품 판매할 때 원칙 위반 시 징벌적 과징금 부과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3월 25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35
8788 금융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소비자경보 제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6 73
8787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감독규정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7 10
8786 금융소비자 불편사항 32건이 개선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97
8785 금융소비자 여러분, '금융소비자 감시단'에 참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2 81
8784 금융소비자 중심의 「실질수익률」 제공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1 65
8783 금융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분쟁발생시 참고할 수 있는 유익한 민원분쟁정보를 지속 공개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3
8782 금융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법! ㄱㅇㅅㅂㅈㅂㅎ법 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35
8781 금융소비자가 알아두면 유용한 금융정보 길라잡이 10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8 45
Board Pagination Prev 1 ...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