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5-2018년 동안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응급실 내원 증가
    - 차도 및 횡단보도(49.5%)에서 대부분 발생하며, 오후 시간대(15시~18시)에 높음
 ◇ 질병관리본부,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한 예방 수칙 안내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보행자 교통사고로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교통사고 환자 18만 7003명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수는 3만 5976명으로 남자가 1만 8578명(51.6%), 여자가 1만 7398명(48.4%)이었다.

  -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비율을 살펴보면, 어린이(만 12세 이하)가 성인(만 19세 이상)에 비해 1.5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취학 전 어린이(만 1~6세, 30.5%)와 취학기에서는 저학년(만 7~12세, 26.3%; 만 13~15세, 17.4%; 만 16~18세, 14.1%)일수록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가 다치는 비율이 높았다.

   *  어린이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27.3%(5,358/1만 9636명)

   *  성인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8.5%(2만 8603/15만 4244명


<4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응급실 내원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보행자 교통사고 비율이 높은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가 응급실에 내원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성별·연령별) 전체 5,358명으로 남아의 발생빈도(3,439명, 64.2%)가 여아(1,919명, 35.8%)에 비해 약 1.8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유치원(만4-6세) 및 초등학교 저학년(만7-9세) 연령에서 많이 발생(약 65%)했다.

   - (시기별) 하원·하교가 시작되는 12시 이후부터 현저히 증가하여 오후 15시-18시(36.9%)에 가장 많았고, 월별로는 5~6월에 많이 발생했다.

   - (장소별) 주로 도로(85.7%)에서 사고가 발생하며, 이 중 차도 및 횡단보도(49.5%),  골목길을 포함하는 기타도로(24.5%), 인도 또는 보도(8.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활동별) 일상생활(69.2%) 및 여가활동(23.5%) 중에 주로 발생했다.

   - (손상부위 및 양상) 다친 부위는 주로 머리·목(38.7%)과 하지(34.5%)이고, 타박상·표재성 손상(53.9%)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만 12세 이하 성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연령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시간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월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장소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활동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부위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양상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는 등교개학 시기에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길을 걸을 때 안전하게 보행자 도로를 이용한다.

길을 건널 때 횡단보도를 이용하고멈춘다, 살핀다, 건넌다3가지 기본 원칙을 지킨다.

길을 걸을 때는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삼간다.

운전자가 식별하기 쉽게 야간에는 밝은 색 옷을 입고, 손전등이나 빛이 반사되는 물건을 갖고 다닌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주변 환경에 대한 주의력 부족으로 교통사고에 취약하며, 사고가 나더라도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했다.

   - 또한 “어린이가 학교를 가는 등교 수업을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주의가 필요하고, 학교와 가정에서는 평소에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보건복지부 2020-06-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71 열대과일 '리치' 공복에 섭취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7
2870 연초에 많이 발생하는 카드발급, 연말정산, 합격문자 등 보이스피싱 사기 수법, 늘.꼭.또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03
2869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18.07.19
2868 연일 계속되는 폭염, 온열질환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7.17
2867 연이은 폭염,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18.08.09
2866 연안 안전사고 주의, 6~8월 가장 많이 발생(3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7.05.26
2865 연소 중 연료 공급 시 화염분사 현상 발생하는 Flikr Fire 개인용 화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2.13
2864 연말연시 강추위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12.30
2863 연말 연휴기간 직전 집중공시 관련 유의사항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2.21
2862 연료펌프 커버플레이트 변형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투싼(LM) 차량, 기아자동차 스포티지(SL)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2.01.03
2861 연료탱크 부식 현상 발생하는 올란도 LPG모델 차량 보증기간 연장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3.08.17
2860 연료 탱크 외부 정전기 방전으로 화재 위험 있는 Polaris A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2.13
2859 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무선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6.07
2858 연기 감지 기능 미흡 및 경보 음량 저조한 DIGOO 화재감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11.29
2857 연결나사 파손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킥보드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1
2856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17.06.02
2855 역화 현상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Ooni 캠핑용 피자 오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4.02.20
2854 역외보험 가입을 권유받을 때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5.25
2853 역류에 의한 질식 위험이 있는 디지털 탕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5.20
2852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8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