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5-2018년 동안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응급실 내원 증가
    - 차도 및 횡단보도(49.5%)에서 대부분 발생하며, 오후 시간대(15시~18시)에 높음
 ◇ 질병관리본부,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한 예방 수칙 안내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보행자 교통사고로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교통사고 환자 18만 7003명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수는 3만 5976명으로 남자가 1만 8578명(51.6%), 여자가 1만 7398명(48.4%)이었다.

  -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비율을 살펴보면, 어린이(만 12세 이하)가 성인(만 19세 이상)에 비해 1.5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취학 전 어린이(만 1~6세, 30.5%)와 취학기에서는 저학년(만 7~12세, 26.3%; 만 13~15세, 17.4%; 만 16~18세, 14.1%)일수록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가 다치는 비율이 높았다.

   *  어린이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27.3%(5,358/1만 9636명)

   *  성인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8.5%(2만 8603/15만 4244명


<4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응급실 내원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보행자 교통사고 비율이 높은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가 응급실에 내원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성별·연령별) 전체 5,358명으로 남아의 발생빈도(3,439명, 64.2%)가 여아(1,919명, 35.8%)에 비해 약 1.8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유치원(만4-6세) 및 초등학교 저학년(만7-9세) 연령에서 많이 발생(약 65%)했다.

   - (시기별) 하원·하교가 시작되는 12시 이후부터 현저히 증가하여 오후 15시-18시(36.9%)에 가장 많았고, 월별로는 5~6월에 많이 발생했다.

   - (장소별) 주로 도로(85.7%)에서 사고가 발생하며, 이 중 차도 및 횡단보도(49.5%),  골목길을 포함하는 기타도로(24.5%), 인도 또는 보도(8.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활동별) 일상생활(69.2%) 및 여가활동(23.5%) 중에 주로 발생했다.

   - (손상부위 및 양상) 다친 부위는 주로 머리·목(38.7%)과 하지(34.5%)이고, 타박상·표재성 손상(53.9%)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만 12세 이하 성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연령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시간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월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장소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활동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부위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양상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는 등교개학 시기에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길을 걸을 때 안전하게 보행자 도로를 이용한다.

길을 건널 때 횡단보도를 이용하고멈춘다, 살핀다, 건넌다3가지 기본 원칙을 지킨다.

길을 걸을 때는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삼간다.

운전자가 식별하기 쉽게 야간에는 밝은 색 옷을 입고, 손전등이나 빛이 반사되는 물건을 갖고 다닌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주변 환경에 대한 주의력 부족으로 교통사고에 취약하며, 사고가 나더라도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했다.

   - 또한 “어린이가 학교를 가는 등교 수업을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주의가 필요하고, 학교와 가정에서는 평소에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보건복지부 2020-06-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3 EGF 성분 화장품, 의학적 효능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0.06.25
4052 Elodie Details 노리개젖꼭지 클립 3종, 작은 부품이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1
4051 Elodie Details 노리개젖꼭지 클립 5종, 작은 부품이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1
4050 Emerald 호두,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05.17
4049 Enox 스마트워치, 해킹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6 2019.04.11
4048 Envirokidz 시리얼, 밀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9.05.16
4047 Ermila 가정용 전기고데기, 화재 및 감전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9 2019.05.16
4046 Eternal ink 문신잉크(Bright Orange), 중금속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05
4045 Eternal ink 문신잉크(Cocoa Bean),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8.07.19
4044 Eternal Ink 문신잉크(Dark red),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18.06.20
4043 Eternal ink 문신잉크(Dark Red),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6.21
4042 Eternal ink 문신잉크(Lightening Yellow),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06.21
4041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4.11
4040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9.07
4039 Evanhealy 화장품,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6.21
4038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5.21
4037 Fallopia multiflora 대체의약품, 간 손상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7.22
4036 Flos 조명 2종, 부품이 분리되어 떨어져 충격 손상 받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02.06
4035 FOCUS 산악 자전거 무상 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06 2016.09.08
4034 FOX FLOAT X2 리어 쇼크업소버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150 2017.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