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5-2018년 동안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응급실 내원 증가
    - 차도 및 횡단보도(49.5%)에서 대부분 발생하며, 오후 시간대(15시~18시)에 높음
 ◇ 질병관리본부,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한 예방 수칙 안내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보행자 교통사고로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교통사고 환자 18만 7003명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수는 3만 5976명으로 남자가 1만 8578명(51.6%), 여자가 1만 7398명(48.4%)이었다.

  -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 비율을 살펴보면, 어린이(만 12세 이하)가 성인(만 19세 이상)에 비해 1.5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취학 전 어린이(만 1~6세, 30.5%)와 취학기에서는 저학년(만 7~12세, 26.3%; 만 13~15세, 17.4%; 만 16~18세, 14.1%)일수록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가 다치는 비율이 높았다.

   *  어린이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27.3%(5,358/1만 9636명)

   *  성인 전체 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8.5%(2만 8603/15만 4244명


<4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응급실 내원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보행자 교통사고 비율이 높은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가 응급실에 내원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성별·연령별) 전체 5,358명으로 남아의 발생빈도(3,439명, 64.2%)가 여아(1,919명, 35.8%)에 비해 약 1.8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유치원(만4-6세) 및 초등학교 저학년(만7-9세) 연령에서 많이 발생(약 65%)했다.

   - (시기별) 하원·하교가 시작되는 12시 이후부터 현저히 증가하여 오후 15시-18시(36.9%)에 가장 많았고, 월별로는 5~6월에 많이 발생했다.

   - (장소별) 주로 도로(85.7%)에서 사고가 발생하며, 이 중 차도 및 횡단보도(49.5%),  골목길을 포함하는 기타도로(24.5%), 인도 또는 보도(8.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활동별) 일상생활(69.2%) 및 여가활동(23.5%) 중에 주로 발생했다.

   - (손상부위 및 양상) 다친 부위는 주로 머리·목(38.7%)과 하지(34.5%)이고, 타박상·표재성 손상(53.9%)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만 12세 이하 성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연령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시간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월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장소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활동별 발생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부위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손상양상 현황, 2015-2018>  :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는 등교개학 시기에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길을 걸을 때 안전하게 보행자 도로를 이용한다.

길을 건널 때 횡단보도를 이용하고멈춘다, 살핀다, 건넌다3가지 기본 원칙을 지킨다.

길을 걸을 때는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삼간다.

운전자가 식별하기 쉽게 야간에는 밝은 색 옷을 입고, 손전등이나 빛이 반사되는 물건을 갖고 다닌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주변 환경에 대한 주의력 부족으로 교통사고에 취약하며, 사고가 나더라도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했다.

   - 또한 “어린이가 학교를 가는 등교 수업을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주의가 필요하고, 학교와 가정에서는 평소에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보건복지부 2020-06-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19 접지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Puhui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1418 난연성 미흡 등 기준 미준수로 부상 위험 있는 Dress up 코스튬 의상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1417 퓨즈·플러그 결함으로 감전 및 부상의 위험이 있는 Aovopro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1416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6
1415 Princess 블렌더(Blender2Go),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4.12
1414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24
1413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6.22
1412 Achva 타히니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1.31
1411 Peg Perego 승용완구, 납·카드뮴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5.16
1410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1409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에코폭시(EcoPoxy) 에폭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7.01
1408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Asian Home Gourmet 카레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9.13
1407 일부 제품 포장 미흡으로 품질 저하 우려있는 김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12.27
1406 금속 이물질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Kool-Aid 음료 가루 재고 폐기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2.03.08
1405 애슬리트/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1.31
1404 해외 사기의심 사이트 피해 4배 증가,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3.10
1403 단추형전지 관련 주의문구 없어 리콜된 언더아머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3.13
1402 금지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 포함된 Fair & Whit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4.05
1401 터릿(Turret) 파손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XDEEP 스쿠버 레귤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4.07
1400 Recaro 유아용 카시트 2종, 안전벨트 불량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7.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