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계약 관련 법령을 위반해 공직자등에게 특정인이 계약 당사자로 선정·탈락되도록 하거나, 공공기관의 재화·용역을 특정인에게 법령에서 정하는 가격 또는 정상적 거래관행에서 벗어나 사용・수익하도록 하는 행위는 ‘부정청탁’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정청탁을 받았다면 해당 공직자등은 명확한 거절의사를 표시하고 동일한 부정청탁을 다시 받았다면 소속기관장 등에게 신고해야 한다.
  
부정청탁에 따라 공직자등이 직무를 수행하면 해당 공직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제3자를 통해 부정청탁을 한 사람은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제3자를 위해 부정청탁을 한 경우 공직자등은 3천만 원 이하, 공직자등이 아닌 사람은 2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부정청탁’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청탁금지법 바로 알기’마지막 순서로 계약과 정상적인 거래관행에서 벗어난 재화 및 용역의 사용・수익 관련 사례를 소개했다.
 
□ 청탁금지법 상 ‘부정청탁’ 14가지 대상 직무 중 계약(제5조제1항제7호)과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재화 및 용역의 사용・수익(제5조제1항제9호)은 가장 적합한 요건을 갖춘 상대방을 선정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무엇보다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우선, 계약 관련 법령을 위반해 특정 개인・단체・법인이 계약의 당사자로 선정 또는 탈락되도록 하는 행위는 ‘부정청탁’에 해당한다.
  
일례로 지방의원 본인과 배우자가 소유한 약품업체는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없는데도 방제 담당부서에 해당 약품업체로부터 약품을 구입해 달라는 취지로 수차례 청탁을 해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부정청탁’에 따라 특정 법인이 계약 당사자로 선정되도록 한 것으로 계약을 체결한 공무원에게는 각 벌금 7백만 원, 3백만 원, 공무원들을 통해 부정청탁을 한 지방의원은 과태료 1천5백만 원, 제3자를 위해 부정청탁을 한 공무원들은 각 과태료 8백만 원, 2백만 원이 부과됐다. (2020년 2월 법원 결정)
  
또 다른 사례로 통신업체를 운영하는 동생을 위해 7회에 걸쳐 각종 통신공사에 관한 수의계약을 체결해달라고 청탁한 공직자에게는 9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2019년 11월 법원 결정)
  
정상적인 거래관행에서 벗어나 공공기관이 생산・공급・관리하는 재화 및 용역을 특정 개인・단체・법인에게 매각・교환・사용・수익・점유하도록 하는 행위도 ‘부정청탁’에 해당한다.
  
사례를 보면 학생 수련활동과 교육공무원들의 신청・추첨으로 이용이 가능한 수련원 객실을 부정청탁을 통해 이용한 위반자들에게 과태료 각 10~50만 원이 부과됐다.  (2019년 12월 및 2020년 2월 법원 결정)
  
계약과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재화의 사용・수익 등 ‘부정청탁’에 대해 국민권익위에 유권해석을 요청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질의회신 사례를 보면 국립대학교 병원 진료 접수순서 변경을 부탁하거나 기차나 철도 열차표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부정청탁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유권해석 요청이 있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특별한 사정없이 공공기관의 내부 기준, 사규 등을 위반해 특정인에게 특혜를 요구하는 것이라면 정상적인 거래관행에서 벗어난 ‘부정청탁’에 해당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또 건설사업자가 대학교에서 방수공사를 실시할 예정이라는 것을 알고 친구인 대학교 교직원을 통해 공사금액을 소액으로 분할해 수의계약을 할 수 있도록 부탁하는 경우 청탁금지법 위반인지에 대한 문의가 있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가계약법령 등을 위반해 공사 및 금액을 분할, 특정인을 수의계약의 당사자로 선정하도록 하는 행위는 ‘부정청탁’이 될 수 있다고 답변했다.
 
□ 계약이나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재화의 사용・수익 업무를 담당하는 공직자등은 부정청탁을 받은 경우 명확하게 거절의 의사를 표시해야 하며 동일한 부정청탁을 다시 받았다면 소속기관장 또는 청탁방지담당관에게 신고해야 한다. (청탁금지법 제7조제1항 및 제2항)
  
또 누구든지 계약 또는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재화의 사용・수익 관련 부정청탁 행위가 발생했거나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경우에는 위반행위가 발생한 공공기관 또는 그 감독기관, 감사원 또는 수사기관, 국민권익위에 신고할 수 있다. (청탁금지법 제13조)
  
신고로 인해 공공기관에 재산상 이익을 가져오거나 손실을 방지한 경우 또는 공익의 증진을 가져온 경우에는 신고자에게 2억 원 이하의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청탁금지법 제15조제5항)
 
<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 접수 및 처리 절차 >
1
 
□ 국민권익위는 향후에도 인・허가, 행정처분의 감경・면제, 공직자등의 인사, 직무상 비밀 누설, 행정지도・감사・조사 결과 조작, 사건의 수사・재판 등 부정청탁(청탁금지법 제5조제1항)에 대한 판례・질의회신 사례 등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청탁방지담당관 워크숍 등을 통해 유의사항을 전파해 나갈 예정이다.
  
또 지난 15일까지 ‘’을 통해 청취한 국민 의견 등을 반영해 인턴채용, 교정시설 교도관의 교정・교화 업무 등과 같이 공직자등이 부정청탁을 받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으나 현행 청탁금지법 상 처벌이 어려운 분야가 청탁금지법 규율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법령 보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박은정 위원장은 “국민권익위는 법・제도 보완, 국민 인식 전환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부패행위의 시작이 되는 부정청탁을 방지하여 정정당당하게 나아가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0-05-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20 설연휴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정보, 공유누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9 18
7819 설명절 우리 농수산식품으로 따뜻한 마음을 전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1 54
7818 설명절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14,843개, '공유누리'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54
7817 설명절 공중화장실 깨끗하고 안전하게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23
7816 설명절 고속도로 휴게소 임시화장실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2
7815 설명자료(한국경제신문과 국민일보 '치약, 화장품으로 전환' 기사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92
7814 설명자료(SBS 8시뉴스 '목숨이 달렸는데...장사 안되는 희귀병약 품귀'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7
7813 설명자료(SBS '여드름 없애려 피임약 암거래? 혈전증 위험'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75
7812 설명자료(MBC ‘유통기한 남았는데 역겨운 맛이? 수입과자 관리 엉망’ 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97
7811 설명자료('국내 수두백신 효과 떨어진다' 보도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5 239
7810 설맞이 선물, 주류·건강기능식품·의료기기 등 구입 시 이것만은 주의 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76
7809 설맞아 전국 5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8 42
7808 설마 내 몸속에 기생충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4 31
7807 설레는 축제 현장, 안전 먼저 챙기고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2 54
7806 설날 연휴, 국립공원을 비대면으로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27
Board Pagination Prev 1 ...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