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지하수 무료 수질검사를 희망하는 상수도 미보급지역 주민 대상으로 안심지하수 콜센터(1899-0134) 운영

▷ 지하수 방치공 발견 주민은 시군구 지하수 담당부서 또는 한국수자원공사 방치공 신고센터(080-654-8080)에 신고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상수도 미보급지역 주민들의 먹는물 복지 향상과 지하수 오염 예방을 위해 올해 '안심지하수 사업'과 '지하수 방치공 찾기운동'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하수 방치공'이란 오랜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아 지자체 관리대상에서 누락되거나 방치된 지하수 관정을 의미한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퇴비 등을 통해 질소 성분(질산성질소)이 지하수 관정에 유입되면 지하수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안심지하수 사업'은 상수도 미보급지역에서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는 취약계층 주민들을 위한 물 복지 향상 사업이다.


환경부는 먹는물로 이용되는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질 검사를 무료로 실시하며, 지하수 수질 검사 후 수질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지하수 관정 주변 청소 및 소독, 자재 세척 등 맞춤형 개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는 상수도 미보급지역 주민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운영하는 '안심지하수 콜센터(1899-0134)'를 통해 무료로 수질 검사를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관정은 제외되며 올해 무료 수질검사는 5월 27일부터 시작한다.


이 사업은 2012년부터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약 10만공의 지하수 수질검사와 3천공 이상의 맞춤형 개선사업을 지원했다. 


한편 '지하수 방치공 찾기운동'은 지하수 오염을 유발하는 방치공을 찾아내어 원상복구하는 등 지하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사업이다.


지하수 방치공을 발견한 주민은 누구나 시군구의 지하수 담당부서나 한국수자원공사 방치공신고센터(080-654-8080)에 신고할 수 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방치공 발견 사실이 신고되면 현장조사 후 오염예방 조치 및 원상복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2001년부터 시작한 '지하수 방치공 찾기운동'은 지금까지 약 8만 3천공의 방치공을 발굴하여 오염예방 처리를 완료했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지하수는 한 번 오염될 경우 본래 상태로 회복이 어려운 만큼 소중히 다루어야 할 자원"이라며, "안심지하수 사업, 방치공 찾기운동 등을 통해 국민에게 맑고 깨끗한 지하수를 물려주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0-05-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55 지하역사 미세먼지, 엄격하게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5
11854 지하수 미등록시설 자진신고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4
» 지하수 무료 수질검사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68
11852 지폐투입구가 돌출된 자동판매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91
11851 지카바이러스 정확히 알고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103
11850 지카바이러스 사실은 이렇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8 105
11849 지카바이러스 발생지역에 미국 텍사스 주 카메론 카운티 추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86
11848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에 미국(마이애미 시 등) 추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89
11847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싱가포르 등 73개국으로 확대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104
11846 지카바이러스 발생국 다녀오신 분, 입국 후 이런 사항을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2 93
11845 지카바이러스 두 번째 감염자, 해외서 유입 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9 132
11844 지카바이러스 대응 동·식물 검역현장 이상없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6 99
11843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철저히 대비하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2 84
11842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해외 유입 사례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113
11841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유입 대비 국민 참여 모기 방제 대책 수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8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