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521일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2) 발생

농작업 및 풀숲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경북과 충남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사망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 경북에 거주하는 L씨(여자, 만 76세)는 최근 감자심기 등 밭일을 하였고, 혈뇨, 설사 등의 증세로 인근 의원(4.29일)에서 치료 중 간수치 상승 및 의식저하로 B종합병원(5.6일) 중환자실 치료를 받다 증세가 악화되어 패혈증성 쇼크로 사망(5.21일)했다.


 ○ 충남에 거주하는 C씨(남자, 만 87세)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산나물 채취와 텃밭을 가꾸는 등 야외 활동을 하였고, 진드기 물림을 발견하여 고열로 인근 의원에 진료(5.15일)받았다.


   - 혈구 감소가 확인되어 해당 병원으로 전원 되었으며, 중환자실 치료를 받던 중 호흡부전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5.21일)했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20년 5월 현재 환자 1,097명(사망자 216명)이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 79명(’15)→ 272명(’17)→ 223명(’19,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 21명(’15)→ 54명(’17)→ 41명(’19, 잠정통계)



<작은소피참진드기 그림 붙임 참조>



 ○ ‘20년 4월 현재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참진드기 지수(T.I.)*가 30.4로 전년 동기간(54.4) 대비 44.1% 낮은 수준이나, 경남(147.3), 충남(45.1), 전북(44.1) 지역은 참진드기 밀도**가 높아 특별히 주의가 필요하다(붙임3 참조).


   * 참진드기 지수(Trap Index, T.I.) = 전체 참진드기 개체 수/채집기 수


□ SFTS는 등산, 나물채취,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흡혈을 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은 4-6월, 성충은 6-8월에 높은 밀도로 채집


 ○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고, 특히 고령자는 감염되면 사망률이 높아 야외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SFTS는 치사율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으로 농작업시나 야외활동 시 긴 옷을 착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 2020-05-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51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13
2850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13
2849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7.13
2848 의약품 성분 검출된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3
2847 폭염을 피해 떠난 물놀이, 예방수칙 준수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2
2846 알러지 반응 유발하는 스트레스 완화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7.11
2845 배터리 잠금장치 오작동 및 화재발생 위험 있는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11
2844 녹농균 검출된 목욕용 물티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1
2843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미흡한 블루투스 추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7.11
2842 질식 및 청력 손상 위험 있는 워터플루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1
2841 고정장치 불량으로 분리되어 상해 위험있는 휴대용 Spark 오디오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7.11
2840 연결나사 파손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킥보드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11
2839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2838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7.08
2837 디지털프라자 365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7.08
2836 스마트 도어록 선택 요령 및 사용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7.07
2835 다목적 세정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07
2834 형광램프 대체형 LED램프의 모든것! 두유노? LED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7.07
2833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에 의한 식중독 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6
2832 전자아울렛 / DIGITAL-ASOT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2.07.06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