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앞으로 일선 학교 등에서 교원의 조기복직 등으로 기간제 교원이 계약 기간 중에 해고되는 불공정한 계약관행이 개선되고, 갑작스런 해고로 인한 생계곤란 문제도 해소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휴직 교원의 조기복직으로 비정규직인 기간제교사가 계약기간 중 중도해고 되고, 법적 의무사항인 해고예고절차나 퇴직금 등 권리구제절차가 불완전하게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내용의 ‘기간제교원 중도해고 관련 불공정 관행 개선’ 방안을 마련해 교육부와 전국 17개 교육청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 「교육공무원법」과「교육공무원임용령」에 따르면, 교원이 휴직․파견 등으로 1개월 이상 결원이 발생해 학생들의 수업에 차질이 예상되면 일선 학교는 기간제교원을 채용해 수업을 하도록 하고 있다.
 
기간제교원은 교육공무원이 아닌 일반 근로자로「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기간제법)」과「근로기준법」을 적용받는다.
 
이들은 공모 등 채용절차를 거쳐 근무기간, 근무내용 등을 명시한 근로계약을 체결 후 짧게는 1년 이내에서 최대 4년까지 학생 수업을 담당한다. 지난해 기준 전체교원 496,504명 중 약 11%인 5만 4,539명이 기간제교원이다.
 
그러나 휴직 중 교원이 당초 계획된 기간보다 조기 복직할 경우, 학교입장에서는 교원 정원 초과와 그 인원에 대한 인건비 추가 발생 문제를 이유로 별도의 권리구제절차 없이 당초 계약한 기간제교원을 직권면직(중도해고) 하고 있다.
 
또 일부 교육청은 해고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근로기준법」에서 정한 해고예고(해고 30일 이전에 서면통보, 위반 시 30일분 임금지급)와 퇴직금 지급 등의 절차를 자체 지침인「계약제교원 운영지침」에 명시하지 않아 일선 학교에 혼선을 일으키고 있다.
 
2019.12.31에 학교에 출근해 기간제 교원으로 정상근무를 하고 있던 중 어제 일자(12.30)로 해고처리 됐다는 황당한 통보를 받음. (2020. 1. 국민신문고)
▪휴직자 복귀로 1.2.까지 근무할 것을 해고 이틀 전인 12.30.에 통보받음. 근로기준법상 위법이므로 해고예고수당 지급을 요구했으나 지급 의무가 없다고 해 억울함 (2020. 1. 국민신문고)
휴직교원이 1.2.에 복귀한다는 이유로 5일전인 12.31.자로 갑작스럽게 계약해지해 준비도 없이 하루아침에 실업자가 됨. (2019. 12. 국민신문고)
▪올해 2.28. 계약만료로 퇴사한 기간제교원이며 아직 퇴직금을 지급 받지 못한 상황임. 학교에 문의해보니 기다리라는 답변만 함. (2020. 1. 국민신문고)
 
국민권익위가 각 교육청과 일선 학교의 채용공고와 채용계약서에 대해 실태조사를 한 결과, 각 교육청의「계약제교원 운영지침」에 ‘해당 교사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휴직‧파견 중이던 교원이 복직할 경우 계약을 해지 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전국 17개 교육청에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10개 교육청은「근로기준법」상 해고자에 대해 해고기피노력, 우선 재고용 등 구제 의무가 있는데도 구제절차를 아예 명시하지 않아 청와대 국민청원, 국민신문고 등에 근로조건 불공정에 대한 다수의 민원이 제기되고 있었다.
□ 이에 국민권익위는 교원 조기복직 등에 의한 기간제교원의 자동계약해지 조항을 폐지하도록 했다.
 
다만, 인건비 문제 등으로 인해 중도해고가 불가피한 경우 중도해고자의 채용 우대방안을 마련하도록 각 교육청에 권고했다.
 
아울러 정규교원의 휴직뿐 아니라 복직 시에도 임용권자(학교장)가 관리‧감독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마련해 일부 언론 등에서 지적했던 정규교원의 방학기간 복직 문제도 개선되도록 했다.
 
또 각 교육청의「계약제교원 운영지침」에「근로기준법」상의 해고예고 및 퇴직금 지급절차 방법을 체계적으로 명시함으로써 기간제교원의 중도해고 시 일선 현장에서의 혼선을 방지하도록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권석원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학교 내 비정규직 근로자인 기간제교원의 근로환경이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0-05-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20 국민권익위, 직업계고등학교 현장실습생 권익보호를 위한 국민의견 조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6
5119 2차 방문돌봄종사자 등 한시지원금 4월 12일부터 온라인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6
5118 계절관리제 운행제한 하루 적발건수, 첫달 대비 41%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4 26
5117 국민권익위, ‘주택 중개보수 요율체계 및 중개서비스‘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9 26
5116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에 따른 세부규정 마련 완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26
5115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필수노동자 보호·지원대책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26
5114 10월 22일부터 정부24 “토지 제증명 일괄신청 서비스”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1 26
5113 호우.폭염 시 식품안전관리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26
5112 블루투스스피커, 음향품질·연속 재생시간 등에서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5 26
5111 재개발 아파트 임대주택 더 짓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6 26
5110 공산품 '저주파 마사지기' 허위광고 438건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2 26
5109 온라인 판매 새싹보리 분말식품에서 금속성 이물 및 대장균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6 26
5108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를 통한 과학학습 이벤트 진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9 26
5107 '맞춤형화장품' 3월 1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3 26
5106 3월까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초 중학교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26
Board Pagination Prev 1 ...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