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은 BECO 수영장갑 제품이 크리센과 벤조피렌(측정량: 각각 3.17mg/kg, 4.48mg/kg)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함량이 높아 발암 위험이 있어, 해외에서 리콜되고 있다는 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국내유통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과 구매대행 사이트에 동일한 제품이 게시,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판매차단 등의 조치를 권고했으며, 해당 사업자는 제품의 판매를 차단(2020.4.6.기준)했다.
 

<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BECO 수영장갑 판매차단 안내 >

1. 대상제품
   - 제품 상세 정보
브랜드BECO
제품명네오프렌 장갑(AquaHandschuhe)
제조국중국
제품코드9634, 9635, 9636, 9667
제품사진   
※ 이미지 출처: (좌: BAUA(www.baua.de), 우: www.beco-beermann.com)
제품특징- 수영 용품으로 사용되는 수영장갑으로 3개의 사이즈로(S-청록,M-빨강,L-파랑)로 구분되어 판매됨.
- 소재와 손가락 부위 개방 여부 등에 따라 제품코드가 나뉨.


2. 조치 사유
- 해당 제품은 크리센과 벤조피렌(측정량: 각각 3.17mg/kg, 4.48mg/kg)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함량이 높아, 이로 인한 발암 위험이 있어 독일에서 리콜됨
* 유럽연합의 ‘REACH(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제한) 규정’에 따르면, 피부접촉 제품에 대해 크라이센과 벤조피렌의 기준치는 각각 1mg/kg을 초과할 수 없음.
또한, 벤조피렌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C)에서 ‘인체에 확인된 발암물질(1군)’으로 분류하고 있음.

3. 기 조치 사항
- 해당 제품을 취급한 국내 오픈마켓 및 구매대행 사이트에 판매차단 조치
※ 해당 제품의 공식수입사는 확인되지 않음.

4. 소비자 유의사항 및 조치 방법
- 해당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할 것
- 수입·판매사가 확인될 경우에는 연락을 통해 교환, 환급 등의 조치를 받을 것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20-05-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7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2.5.∼2016.2.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7 2016.02.15
427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2.12.∼2016.2.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43 2016.02.22
4269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변동상황(2016.3.8.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1 2016.03.10
4268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3월14일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1 2016.03.16
4267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이하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07 2016.03.17
426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3.11~2016.3.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5 2016.03.23
4265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치 초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56 2016.03.25
426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3.18~2016.3.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08 2016.03.28
4263 2015년 1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6 2016.03.30
4262 2015년 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48 2016.03.30
4261 2015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8 2016.03.30
4260 2015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55 2016.03.30
4259 2015년 4월 소비자 위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1 2016.03.30
4258 2015년 5월 소비자 위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23 2016.03.30
4257 2015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07 2016.03.30
4256 2015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4 2016.03.30
4255 2015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3 2016.03.30
4254 2015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10 2016.03.30
4253 2015년 9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37 2016.03.30
4252 2015년 10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1 2016.03.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