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봄철 어린이들의 야외활동이 늘면서 승용스포츠 제품*과 관련한 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자전거, 킥보드, 롤러스케이트/인라인스케이트(이하 롤러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바퀴운동화

승용스포츠 제품 어린이 사고 5~6월 가장 많아, 전체의 71.1%가 남아 사고

최근 5년간(’15년~’19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승용스포츠 제품 관련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는 총 6,724건**이었다. 이 중 발생 시기가 확인된 6,633건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6월이 15.3%(1,012건)로 가장 많았고, 5월(14.5%, 964건)과 9월(12.5%, 829건)이 뒤를 이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한국소비자원이「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15년 1,268건, ’16년 1,069건, ’17년 1,465건, ’18년 1,215건, ’19년 1,707건

[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승용스포츠 제품 관련 월별 사고추이 ]

성별 확인이 가능한 6,720건 중에서는 남아가 71.1%(4,779건), 여아는 28.9%(1,941건)를 차지해 남아의 안전사고가 여아보다 약 2.5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킥보드 관련 안전사고 5년간 4.6배 증가

승용스포츠 제품 중 최근 5년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3개 품목은 자전거, 킥보드, 롤러스케이트였으며, 특히 킥보드 관련 사고는 ’15년 184건에서 ’19년 852건으로 4.6배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롤러스케이트는 동 기간 26.1% 증가한 반면, 자전거는 28.5% 감소했다.

[ 최근 5년간 품목별 안전사고 추이 ]

유아기에는 킥보드, 학령기에는 자전거·롤러스케이트 사고가 많아

어린이 발달단계별로는 학령기(7~14세) 사고가 54.5%(3,665건)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유아기(4~6세) 사고가 30.6%(2,060건)로 그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킥보드의 경우 유아기에 49.2%(1,242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자전거(67.1%, 2,172건), 롤러스케이트(83.9%, 527건), 스케이트보드(92.2%, 271건), 바퀴운동화(95.5%, 42건)는 학령기에 사고 빈도가 높았다.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열상 · 골절 입는 경우가 많아

위해원인으로는 승용스포츠 제품을 타다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가장 많았다.

   * 미끄러짐·넘어짐 사고 : 자전거(2,283건, 70.6%), 킥보드(2,312건, 91.6%), 롤러스케이트(609건, 97.0%), 스케이트보드(283건, 96.3%), 바퀴운동화(41건, 93.2%)

위해증상으로는 자전거, 킥보드의 경우 머리 및 얼굴의 피부가 찢어지는 열상*을 입는 사례가 많았다. 롤러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는 특히 골절상**을 입는 사례가 많아 부상 방지를 위한 안전모, 손목 팔꿈치 보호대 등 안전장비의 착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열상 사고 : 자전거(1,237건, 38.2%), 킥보드(1,028건, 40.7%)

   ** 골절 사고 : 롤러스케이트(223건, 35.5%), 스케이트보드(108건, 36.7%)

[ 롤러스케이트·스케이트보드 다발 위해증상 현황 ]
 

승용스포츠 제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 교육과 보호자 주의 필요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승용스포츠 제품을 사용하는 어린이와 보호자에게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할 것, ▲자동차·오토바이가 다니지 않는 안전한 공터나 공원에서 탈 것, ▲내리막길에서는 가속되어 위험하므로 내려서 걸을 것, ▲헤드폰, 이어폰 등 주변 소리를 차단하는 액세서리를 착용하지 말 것 등 승용스포츠 제품 사용 안전수칙의 준수를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5-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09 콘도회원권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05
2008 LG가전프라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10
2007 (주)위버스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1.11.10
2006 일부 건강분말 식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금속성 이물(쇳가루)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10
2005 소비자원-서울시, 주식리딩방 소비자피해예방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11.11
2004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록 및 이용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11.15
2003 추운 겨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5
2002 알로에 전잎 건강기능식품 장기간 섭취는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11.16
2001 무좀약을 눈에? 안약 오인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6
2000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1.16
1999 특정 이메일 주소를 반복 사용하는 사기의심 사이트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11.17
1998 건조한 날씨, 가을 산불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11.19
1997 우대금리 금융상품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11.24
1996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11.29
1995 ㈜엠비케이코퍼레이션 몽벨 해먹 스트랩 봉제 미흡 관련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1.11.29
1994 포장 미흡으로 세균 번식 가능성 있는 콘바텍 Duoderm 습윤밴드 회수 및 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11.29
1993 표시 기준을 위반한 Aigle 신발 관리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11.29
1992 연기 감지 기능 미흡 및 경보 음량 저조한 DIGOO 화재감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29
1991 감전 위험 있는 Hoco 휴대폰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1.11.29
1990 과충전 시 발화 위험 있는 JOWAY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1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