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경찰청(청장 민갑룡)은 올해 4월말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년 동기(‘19.1~4월, 1,037명)에 비해 8.4% 감소한 950명으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전년 동기에 비해 보행자(△13.6%), 고령자(△18.1%), 화물차(△19.0%) 사망사고는 크게 감소한 반면, 음주운전(△1.0%)은 소폭 감소하였고, 이륜차(13.0%)와 고속도로(5.4%) 교통 사망사고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보행 중 사망자는 357명으로 전년 동기(413명) 대비 13.6% 감소하였고,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의 37.6%를 차지하였다.

보행 중 사망자 중 횡단보도 외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무단횡단)도 31%(111건)를 차지, 보행자의 법규 준수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 사망자는 390명으로 전년 동기(476명) 대비 18.1% 감소하였다.

세부적으로, 보행 중일 때가 50.8%(198명)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동차 승차 중(23.3%), 이륜차 승차 중(19.2%)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13세 미만 어린이 사망자는 6명으로 전년 동기(8명) 대비 25% 감소하였다. 월 별 분석 시, 연 초반(1·2월)에 집중 발생하였고, 3·4월에는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음주운전 사망사고는 98명으로 전년 동기(99명) 대비 1.0% 소폭 감소하여, 음주 운전의 위험성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과 예방 노력이 더욱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택시 등 사업용 차량으로 인한 사망자는 180명으로 전년 동기(193명) 대비 6.7% 감소하였다.

사업용 차량 차종별로 살펴보면, 전세버스(△28.6%, 7→5명), 택시(△27.5%, 51→37명), 화물차(△23.6%, 55→42명)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노선버스(4.5%, 22→23명), 렌터카(48%, 25→37명)는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업용·비사업용 포함 전체 화물차는 209명으로 전년 동기(258명) 대비 19.0% 감소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 주문 등 배달 서비스가 증가하여, 오토바이 등 이륜차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148명 발생하여 전년 동기(131명) 대비 13.0%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이륜차로 인한 교통사고 건수도 5.9%(5,715→6,055건) 증가하였다.

* 3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전년 동월 대비) : 음식서비스 75.8%↑ <통계청>


도로 종류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특광역시도·지방도·시군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633명으로 전년 동기(814명) 대비 11.7% 감소하였으며, 고속도로와 일반국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각각 5.4% (56→59명, 3명↑), 3.0%(167→172명, 5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1~4월 간 전년 동기 대비 강원(△58.3%), 인천(△50.0%), 제주(△31.0%), 대구(△27.8%), 경북(△23.5%)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광주(100.0%), 울산(16.7%), 경남(11.1%), 충남·대전(9.5%), 부산(8.6%) 등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증가 하고 있어, 지자체 및 지방 경찰관서 등 차원의 교통안전 강화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말까지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지난 2년간 20% 감소 해온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올해에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 (‘15) 4,621(△3.0%) → (‘16) 4,292(△7.1%) → (‘17) 4,185(△2.5%) → (’18) 3,781(△9.7%) → (‘19) 3,349(△11.4%)


그간, 큰 폭으로 감소해왔던 음주운전* 감소율이 낮고, 이륜차·고속도로** 사망사고가 증가하는 등 발생 특성이 예년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음주운전 사망자 : (‘17) 439명(△8.7%) → (’18) 346명(△21.2%) → (‘19) 295명(△14.7%)
** 이륜차 사망자 : (‘17) 564명(△8.1%) → (’18) 537명(△4.8%) → (‘19) 498명(△7.3%)
*** 고속도로 사망자 : (‘17) 248명(△9.2%) → (’18) 252명(1.6%) → (‘19) 206명(△18.3%)


이에,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지난 4월 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2020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대책」의 철저한 시행과 더불어, 비접촉식 감지기를 활용한 점프형 이동식 음주단속 등을 지속 강화하여 음주운전을 근절해 나가는 한편, 이륜차에 대해 국민 공익제보 활성화, 불법 운행 단속 강화, 안전장비 보급 및 캠페인·교육 실시 등으로 적극 관리하고, 고속도로에 대해서도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화물차 등 고위험군을 집중 관리하고, 시기별 테마단속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또한, 교통사고 사망자가 크게 증가한 지자체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합동 점검을 실시하여 교통안전을 보다 강화하도록 독려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향후 초등학교·유치원 개학이 예정됨에 따라, 행정안전부·경찰청 등 관계부처 합동 어린이 보호구역, 어린이 통학버스에 대한 안전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면서, 지자체·교통안전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민들의 협조를 당부하였다.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서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국민적 관심과 참여, 일선 지자체·경찰관서의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 하다면서, 평소, 국민의 음주운전 금지, 교통 법규 준수 및 도심부 안전속도 5030 참여 등 선진적 교통문화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강조하는 한편, 이번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 발표가 각 지역의 교통안전에 대한 관심을 보다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길 바라며, 앞으로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국토교통부 2020-05-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85 3개 자동차 부품 사업자들의 부당 공동행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93
2284 2014년 의약품 안전성 정보 보고 동향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1 93
2283 벤조페논.과불화합물 노출 수준은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93
2282 어린이날 대비 학교주변 식품 위생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93
2281 실직자, 시간제 근로자, 18세 미만 근로자 국민연금 가입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4 93
2280 누구나, 무료로, 공항에서 안전체험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93
2279 7월부터 바뀌는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지금 신청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5 93
2278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93
2277 - 식품용 종이제의 올바른 사용방법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93
2276 금융감독원, 메르스 피해 서민의 금융 지원을 위해 업계와 공동으로 '서민금융 종합지원센터' 설치-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93
2275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개선으로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 경감에 크게 기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93
2274 치매치료약 급여기준(재평가간격)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93
2273 패혈증 치료를 위한 표적분자 규명 및 신약물질 발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93
2272 ㈜이폴리움, 유아용 베개 자발적 무상 교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2271 뇌종양, 개인 유전체 분석으로 맞춤형 치료의 장을 열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Board Pagination Prev 1 ...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