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들이 백내장을 고령층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안과질환이며 이에 대한 수술도 가벼운 치료로 인식해 쉽게 백내장 수술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백내장 수술 후의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연도별 ‘백내장 수술’ 건수 (’16년) 518,663명 → (’17년) 549,471명 → (’18년) 592,191명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년 주요수술통계연보 참조)

안과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 중 백내장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최근 3년간(’17년~’19년) 접수된 안과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84건이었다. 질환 종류별로는 ‘백내장’이 40건(47.6%)으로 가장 많았고 ‘망막질환’(16건, 19.0%), ‘시력교정’(9건, 10.7%), ‘녹내장’(6건, 7.1%) 등이 뒤를 이었다.

백내장 치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 40건은 수술로 인한 부작용(38건, 95.0%)이 대부분이었고, 나머지(2건)는 검사비 환급 관련 불만이었다. 피해구제 신청인은 60세 이상 고령자가 26건(65.0%)에 달했고, 수술 피해가 발생한 의료기관의 유형은 ‘의원’ 20건(50.0%), ‘종합병원’ 8건(20.0%), ‘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이 각각 6건(15.0%)이었다.

백내장 수술 부작용(38건)의 내용을 보면, ‘안내염’과 ‘후발 백내장’ 발생이 각각 6건(15.8%)으로 가장 많았고 ‘후낭파열’ 발생 5건(13.2%),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 3건 (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안내염 : 감염성 미생물의 외인성 또는 내인성 전파에 의해 발생하는 안구 내 염증
후발 백내장 : 백내장 수술 후 보존된 수정체낭에 혼탁이 발생하는 증상
후낭 파열 : 수정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 뒷부분인 후낭이 파열되는 증상
 

기저 질환이 있는 소비자의 백내장 수술 후 시각장애 발생 비율 높아

수술 부작용으로 인해 수술 전 시력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시각장애’까지 이르게 된 경우가 백내장 수술 부작용 사례 38건 중 16건(42.1%)에 달했다. 이 가운데 특히 고혈압, 당뇨 등 내과 질환이나 망막 이상 같은 안과 질환을 갖고 있던 소비자가 14건(87.5%)을 차지해, 기저질환이 있는 소비자는 백내장 수술에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초점 인공수정체 수술은 비용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백내장 수술은 통상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백내장과 노안을 동시에 치료하고 근시·원시를 개선하기 위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 수술은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검사비와 수술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초점이 잘 맞지 않아 난시, 빛번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도 있었다. 백내장 수술 부작용 사례 38건 중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과 관련된 건이 8건(21.1%)이었으며, 검사·수술비용은 두 눈 모두 수술할 경우 최대 800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백내장 수술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정확한 눈 상태 확인과 진단 후 수술의 필요성 및 시급성에 대해 설명을 들을 것, ▲수술 효과,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요구하고 수술을 결정할 것, ▲수술 후 정기검진과 철저한 관리로 합병증을 예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5-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93 손소독제 사용 중 눈에 튀는 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3.30
2392 폴대와 톱날이 분리돼 중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가지치지용 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2.08
2391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임신 20주 이후 사용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10.19
2390 공공기관, 은행 등을 사칭한 불법대출 문자메시지 소비자 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2.03
2389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7.26
2388 Disneyland 봉제인형, 규정치 이상의 화학물질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3.12
2387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2386 겨울철 대설.한파,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18
2385 Eternal ink 문신잉크(Bright Orange), 중금속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05
2384 일본 풍진 유행, 여행 전 예방접종 필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0.12
2383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7.09
2382 설 명절 교통사고 화재 등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2.08
2381 12세 여학생 세 명 중 두 명이 받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방학 때 미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1.24
2380 고무풍선 입으로 불거나 빨면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1.23
2379 금감원, 나이롱환자 등의 허위입원을 조장하는 한방병원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2.21
2378 송년회 모임에서 비상구 위치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2.07
2377 알로푸리놀 투여전 유전자 검사로 의약품 부작용 사전에 예방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1.09
2376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09.27
2375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2.09
2374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6.08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