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들이 백내장을 고령층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안과질환이며 이에 대한 수술도 가벼운 치료로 인식해 쉽게 백내장 수술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백내장 수술 후의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연도별 ‘백내장 수술’ 건수 (’16년) 518,663명 → (’17년) 549,471명 → (’18년) 592,191명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년 주요수술통계연보 참조)

안과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 중 백내장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최근 3년간(’17년~’19년) 접수된 안과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84건이었다. 질환 종류별로는 ‘백내장’이 40건(47.6%)으로 가장 많았고 ‘망막질환’(16건, 19.0%), ‘시력교정’(9건, 10.7%), ‘녹내장’(6건, 7.1%) 등이 뒤를 이었다.

백내장 치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 40건은 수술로 인한 부작용(38건, 95.0%)이 대부분이었고, 나머지(2건)는 검사비 환급 관련 불만이었다. 피해구제 신청인은 60세 이상 고령자가 26건(65.0%)에 달했고, 수술 피해가 발생한 의료기관의 유형은 ‘의원’ 20건(50.0%), ‘종합병원’ 8건(20.0%), ‘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이 각각 6건(15.0%)이었다.

백내장 수술 부작용(38건)의 내용을 보면, ‘안내염’과 ‘후발 백내장’ 발생이 각각 6건(15.8%)으로 가장 많았고 ‘후낭파열’ 발생 5건(13.2%),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 3건 (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안내염 : 감염성 미생물의 외인성 또는 내인성 전파에 의해 발생하는 안구 내 염증
후발 백내장 : 백내장 수술 후 보존된 수정체낭에 혼탁이 발생하는 증상
후낭 파열 : 수정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 뒷부분인 후낭이 파열되는 증상
 

기저 질환이 있는 소비자의 백내장 수술 후 시각장애 발생 비율 높아

수술 부작용으로 인해 수술 전 시력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시각장애’까지 이르게 된 경우가 백내장 수술 부작용 사례 38건 중 16건(42.1%)에 달했다. 이 가운데 특히 고혈압, 당뇨 등 내과 질환이나 망막 이상 같은 안과 질환을 갖고 있던 소비자가 14건(87.5%)을 차지해, 기저질환이 있는 소비자는 백내장 수술에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초점 인공수정체 수술은 비용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백내장 수술은 통상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백내장과 노안을 동시에 치료하고 근시·원시를 개선하기 위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 수술은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검사비와 수술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초점이 잘 맞지 않아 난시, 빛번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도 있었다. 백내장 수술 부작용 사례 38건 중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과 관련된 건이 8건(21.1%)이었으며, 검사·수술비용은 두 눈 모두 수술할 경우 최대 800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백내장 수술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정확한 눈 상태 확인과 진단 후 수술의 필요성 및 시급성에 대해 설명을 들을 것, ▲수술 효과,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요구하고 수술을 결정할 것, ▲수술 후 정기검진과 철저한 관리로 합병증을 예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05-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11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2.08
2410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2.09
2409 알레르기 유발 성분[밀] 미표기된 STEEL 단백질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2.10
2408 발화 가능성 있는 MAOZUA 타워형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3.10
2407 디지털월드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6.03
2406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7.12.14
2405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01
2404 빗길 교통사고 18~20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0.07.09
2403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5.03
2402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7.28
2401 캠핑 중 집중호우 시, 산사태·급류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8.12
2400 HAPE 나무 퍼즐, 조각이 작아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8.04.12
2399 Advocare 식품보충제,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8.06.21
2398 의료기기 부작용 공개 확대..."제품별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9.01.29
2397 Incharacter 영유아 코스튬, 화상 가능성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9.02.07
2396 Dibella 비스킷, 알레르기 유발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9.03.12
2395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0.08.10
2394 지퍼가 탈락되어 해외에서 리콜된 시마노(SHIMANO) 낚시 조끼 무상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04
2393 건물 주차장 차량 진ㆍ출입로, 시각장애인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0
2392 기준 초과 산화에틸렌 함유한 SUPERNATURE Catherine Kluger 그래놀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8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