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족접촉자 검진 받으면 미 검진자에 비해 약 60%의 결핵 예방 효과 확인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74% 결핵 발생 감소

가족접촉자 미 검진자는 잠복결핵감염 치료자에 비해 결핵 발생 위험 약 6배 높음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결핵 환자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에 대한 가족접촉자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연구용역 개요 >

 

 

 

* 연구과제명 : 결핵 환자 가족접촉자조사 자료 분석

* 연구 대상 : 20152018년 결핵 환자 가족접촉자

* 연구 내용 :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조사 자료(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계분석하여 가족접촉자의 역학적 특성 및 검진치료 효과 등 분석

* 연구책임자 : 중앙대학교병원 최재철 교수

 

  ○결핵은 기침,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매일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자녀 등)에게 결핵균을 전파하기 쉽다.

   - 가족접촉자는 결핵 발병 위험이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약 17배* 높은 고위험군으로, 접촉자조사**를 통해 결핵 전파 차단이 필요하다.

    * (출처)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자료 및 Yang et al. PLOS ONE, DEC 17, 2019
    ** 결핵 검사(흉부 X선 검사, (도말 및 배양)객담 검사), 잠복결핵감염 검사(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Interferon-gamma releasing assay, IGRA))
□ ‘결핵 환자 가족접촉자조사 자료 분석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15~2018년 내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13만 8335명 중 13만 7702명(99.5%)이 결핵 검사를 받아 1180명(0.9%)의 결핵 환자가 확인되었으며,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하지 않은 대상자 5만 3565명 중에는 544명(1.0%)의 결핵 환자가 발생하였다.

   - 잠복결핵감염 검사의 경우 수검자 8만 2957명 중 2만 320명(28%)이 양성 진단을 받았고, 6,367명(27.4%)이 항결핵제 치료를 받아 그 중 5,357명(84.1%)이 치료를 완료하였다. [붙임 1 표 1]

 ○ 가족접촉자의 역학적 특성 분석 결과, △ 검진 대상자는 남성(5만 7424명, 41.5%)보다 여성(8만 911명, 58.5%)이 많았으며, △ 지표환자는 남성(4만 1130명, 60.8%)이 여성(2만 6508명, 39.2%)에 비해 많았다. [붙임 1 표 2]

   - 검진 대상자와 지표환자의 관계는 △ 자녀(자녀, 손자‧손녀) 59,689명(43.2%), △ 배우자 41,333명(29.9%), △ 기타동거인(형제‧자매, 친척, 역학) 20,545명(14.9%), △ 부모(조부모, 부, 모, 조모, 조부) 16,768명(12%) 순으로 확인되었다.

   - 이를 통해 결핵 감염 고위험군인 가족 간 전파경로가 주로 부모 및 조부모로부터 자녀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붙임 1 표 3]

 ○ 그리고 가족접촉자 검진의 효과 분석 결과,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중 검진을 받은 경우 미 검진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을 약 60%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특히, 가족접촉자 검진을 통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된 경우 치료를 완료하면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74% 결핵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붙임 1 표 4]
 ○ 또한 결핵 발병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가족접촉자 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검진 및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한 경우에 비해 6.11배 높았다. [붙임 1 표 5]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결핵 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접촉한 동거인을 가족접촉자 대상에 추가하는 조사 대상 확대를 통해 더욱 적극적인 가족접촉자조사를 수행 중”이며,

   - 아울러, “결핵 환자를 조기에 발견·치료하여 결핵 전파를 최소화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발견·치료하여 결핵 발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 보건복지부 2020-04-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50 8월말 전국 미분양 31,698호, 전월대비 4.5% (1,479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30 75
10249 국토부, “토지재산권 보호 강화”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2 75
10248 안과 관련 소비자피해,‘백내장’등 노인성 질환 부작용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5
10247 주요 위생 안전 조항 위반 HACCP업체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75
10246 재해보험 가입 큰 폭 증가, 농가 버팀목으로 자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75
10245 공익신고 보상금 3억 5천여만 원··· 전년 대비 70.7%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5
10244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10243 월1일부터 농어업인 건강보험료 차등지원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10242 2015년 5차 공산품안전성조사 위해상품리스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41 가계부채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40 식중독균 검출‘조미건어포류’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39 민간활용 중심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가속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5
10238 대한민국,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 1위 달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7 75
10237 금융사기 피해구제와 관련한 문의사항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5
10236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3법, 7월1일부터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75
Board Pagination Prev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